본문 바로가기

석죽과57

갯장구채 (20210421)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갯장구채입니다. 흰색 꽃을 피운 갯장구채도 보았습니다. 식물명 : 갯장구채 학명 :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분포 : 중부 이남의 해변에 분포한다. 형태 : 두해살이풀 생육환경 : 바닷가의 숲 속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50cm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없거나 극히 짧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분홍색이고 원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짧은 통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10개의 능선은 자줏빛이 돌고 전체에 굽은 털이 .. 2022. 1. 27.
들개미자리 (20210420) 2021년 4월에 제주도 묵힌 과수원에서 본 들개미자리입니다. 꽃을 피운 모습보다는 씨를 맺은 모습이 더 많이 보였습니다. 식물명 : 들개미자리 학명 : Spergula arvensis L.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들개미자리속 분포 :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중·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 내지 두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20-50cm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선형이며 길이 1.5-4cm, 폭 0.5-1mm 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12-20장씩 돌려나기한다. 탁엽은 작고 길이 1mm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엉성한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소형이며 막질이고 꽃자루는 길이 1.5-4cm로서 꽃이 진 후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조각은 꽃잎과 각각 5개이.. 2022. 1. 25.
다북개미자리 (20211120) 동해안 바닷가 풀밭에서 본 다북개미자리입니다. 11월인데도 녹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다북개미자리 학명 : Scleranthus annuus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다북개미자리속 분포 : 경북 감포읍 북쪽 해변 모래땅에 큰 군락을 이루어 분포한다. 유럽 원산,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생태 : 한해살이풀, 5~9월 개화한다. 형태 : 줄기는 많은 가지를 치고 옆으로 펼쳐지며 높이 7~20cm이고 아래쪽을 향한 잔털이 있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마주나며 송곳 모양으로 건조하면 위쪽으로 말려서 더욱 뾰족해진다. 잎의 기부는 막상(膜狀)으로 폭이 넓으며 좌우의 잎이 합착하여 짧은 통부를 이루어 줄기를 둘러싼다. 탁엽은 없다. 꽃은 5~9월에 피.. 2021. 12. 27.
흰패랭이꽃 (20211029) 거제도 야산의 임도변에서 본 흰패랭이꽃입니다. 식물명 : 흰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chinensis f. albiflora T.B.Lee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패랭이꽃속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들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30㎝내외 잎 : 잎은 마주나기, 선형 또는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밑의 잎은 짧다. 꽃 : 꽃은 흰색, 줄기 끝에 1송이 또는 2-3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짧은 원통형, 윗부분은 5갈래, 길이 2㎝내외이다. 꽃받침 아래의 작은 포는 대개 4장, 점첨두이다. 꽃잎은 5장, 아랫부분에 점이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 수염털이 난다. 열매 : 열매는 삭과,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4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 2021. 12. 16.
분홍장구채 (20210903) 강원도 영월의 도로변 바위에서 본 분홍장구채입니다. 거대한 바위에 분홍색 꽃을 피운 분홍장구채가 곳곳에 붙어있었습니다. 국생종에는 10월에 핀다고 소개가 되고 있는데 9월초에 가서 만났는데도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식물명 : 분홍장구채 학명 : Silene capitata Kom.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분포 : 중국 / 한국(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영월군, 철원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30cm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4cm, 나비 4-1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 포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10-11월에 피고 분홍색으로서 가.. 2021. 10. 11.
동자꽃 (20210810) 강원도 높은 산의 숲속에서 본 동자꽃입니다. 둥근이질풀과 어울려서 꽃밭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동자꽃 학명 : Lychnis cognata Maxim.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동자꽃속 분포 : 한국,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숲속이나 높은 산 초원에서 생육한다. 크기 : 높이 40~100cm정도에 이른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5~8cm, 폭 2.5~4.5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황록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직경 4cm정도로서 진한 적색이고 원줄기.. 2021. 9. 8.
동자꽃 (20210806)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동자꽃입니다. 숲속에서 불을 밝힌 듯 환하게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동자꽃 학명 : Lychnis cognata Maxim.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동자꽃속 분포 : 한국,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숲속이나 높은 산 초원에서 생육한다. 크기 : 높이 40~100cm정도에 이른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5~8cm, 폭 2.5~4.5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황록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직경 4cm정도로서 진한 적색이고 원줄기 .. 2021. 9. 1.
가는장구채 (20210806)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가는장구채입니다. 식물명 : 가는장구채 학명 : Silene seoulensis Nakai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분포 : 중부 이남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한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숲 속 응달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50cm정도에 이른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길이 1.5~3cm, 폭 1~1.5cm로서 달걀모양이며 양끝이 좁고 특히 윗부분이 뾰족하며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원뿔모양의 취산꽃차례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며 꽃부리의 지름은 1.2cm내외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종형이고 5갈래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잎도 5개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 2021. 9. 1.
술패랭이꽃 (20210805) 경남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술패랭이꽃입니다. 식물명 : 술패랭이꽃 학명 : Dianthus longicalyx Miq.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패랭이꽃속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충남, 강원, 경기, 황해, 함북, 한라산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30-100cm로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녹색이거나 흰색을 띠며 길이 4-10cm, 폭 2-10mm로서 밑부분이 서로 합쳐져서 마디를 둘러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3-4쌍이며 밑부분의 것일수록 보다 길고 뾰족하며 꽃받침통은 길이2.5.. 2021.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