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원19

정향풀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정향풀입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이 된 정향풀을 만나서 반가왔습니다. 국명 : 정향풀 학명 :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정향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전라남도 완도군 등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경기도 일부 지역에도 확인된 기록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해안가 모래땅이나 풀밭에서 산다. 5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40~80cm 정도까지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피.. 2022. 6. 16.
피뿌리풀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피뿌리풀입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인 된 피뿌리풀은 제주도에서 자생을 하지만 제주도에서도 만나기가 어렵다고 하는데 무더기로 꽃을 피운 모습을 만나서 반가왔습니다. 국명 : 피뿌리풀 학명 : Stellera chamaejasme L. 국명이명 : 서홍닥나무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도금양목 > 팥꽃나무과 > 피뿌리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제주도 동부 오름 기슭에서만 제한적으로 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몽골, 러시아, 네팔,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생태 : 양지바른 벌판 또는 들판에 매우 드물게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다. 6~7월에 개화하여 9월에 열매가 맺는다. 형태 : 뿌리는 목질이고, 분지한다. 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 2022. 6. 16.
정향풀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주름잎입니다. 흰색 꽃을 피운 주름잎이 바닥을 하얗게 덮고 있었습니다. 국명 : 주름잎 학명 : Mazus pumilus (Burm. f.) Steenis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주름잎속 분포 : 전국 / 일본, 대만, 중국 등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생태 : 한해살이풀로, 꽃은 5~8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서 자라는데, 줄기 아래쪽에서 많은 가지가 만들어지며, 키는 5~20cm 정도 자라며, 줄기에 털이 있다. 잎은 서로 마주 보며 달리나, 줄기 위로 갈수록 서로 엇갈려 달리기도 하며, 길이 1~3cm, 너비 5~15mm 정도의 도란형이며, 끝은 둥글고, 아래쪽은 잎자루처럼 된다. 가장자리에는 얕게 갈라진 톱니들이 있는데, 끝.. 2022. 6. 16.
은방울꽃 분홍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은방울꽃입니다. 종모양의 꽃이 분홍색이 은근히 느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국명 : 은방울꽃 학명 : Convallaria keiskei Miq.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은방울꽃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중국, 일본, 몽골, 미얀마, 러시아, 유럽과 북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2~3장이 아래쪽에서 나며,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길이 12~18cm, 폭 3~7cm, 끝이 뾰족하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높이 25~35cm의 꽃줄기 위쪽에 10여 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땅을 향해 달리며, 지름 5mm쯤, 흰색이다. 꽃.. 2022. 6. 15.
은방울꽃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은방울꽃입니다. 흰색의 작은 종모양의 꽃이 은방울을 굴리는 소리를 들려주는 것 같았습니다. 국명 : 은방울꽃 학명 : Convallaria keiskei Miq.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은방울꽃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중국, 일본, 몽골, 미얀마, 러시아, 유럽과 북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2~3장이 아래쪽에서 나며,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길이 12~18cm, 폭 3~7cm, 끝이 뾰족하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높이 25~35cm의 꽃줄기 위쪽에 10여 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땅을 향해 달리며, 지름 5m.. 2022. 6. 15.
자란 흰꽃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자란입니다. 분홍색 꽃을 피우는 자란인데 흰색 꽃을 피운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국명 : 자란 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자란속 분포 : 제주도와 전라남도 유달산, 대둔산, 진도, 해남, 완도, 보길도 등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해안과 섬의 낮은 산지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지생란이다. 형태 : 잎은 아래쪽에서 5~6장이 어긋나게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0~30cm, 너비 2~5cm이다. 서로 감싸면서 원줄기처럼 되고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집로 되며 세로로 많은 주름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 2022. 6. 15.
윤판나물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윤판나물입니다. 국명 : 윤판나물 학명 : Disporum uniflorum Baker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애기나리속 분포 :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땅속줄기는 짧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50cm다. 잎은 어긋나며,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5~18cm, 폭 3~6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가지 끝에서 2~3개씩 땅을 향해 달리며, 노란색, 길이 2.0~2.5cm다. 화피는 6장이며, 주걱 모양, 모여서 통 모양을 이룬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다. 열매는 긴 구형의 장과이며, .. 2022. 6. 15.
새우난초 녹화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새우난초입니다. 군락을 이루어서 꽃을 피운 새우난초는 녹화처럼 보였습니다. 고운 모습을 만나서 너무 반가왔습니다. 국명 : 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discolor Lindl.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새우난초속 분포 :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산지의 숲속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난초로 높이는 20~50cm 정도이다. 형태 : 잎은 양면에 털이 없고 잎끝은 약간 점차 뾰족해지는 모양, 3장 정도이다. 뿌리잎은 광타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길이 20cm, 너비 5~10cm이고, 줄기잎은 타원형으로 잎의 크기가 뿌리잎과 비슷하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하거나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4~5월경에 피는데 총상꽃차례로.. 2022. 6. 14.
삼지구엽초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삼지구엽초입니다. 군락을 이루어서 자라고 있었는데 꽃이 지는 중이어서 아쉬웠습니다. 국명 : 삼지구엽초 학명 : Epimedium koreanum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삼지구엽초속 분포 : 우리나라 지리산을 비롯한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잡목림 숲 속에서 높이 20~4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뿌리줄기는 단단하고 옆으로 뻗으며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줄기에는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비늘 같은 잎으로 둘러싸인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잎자루가 조금 짧고 2회 3출겹잎으로 어긋난다. 작은잎은 길이 5~.. 2022.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