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원19

모과나무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모과나무입니다. 국명 : 모과나무 학명 :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명자나무속 분포 : 중부 이남(식재) / 중국 생태 :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 형태 : 낙엽활엽 큰키나무이다. 높이 10m에 이르며, 수피는 회갈색이며 조각이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5.5~12.0cm이다. 잎 양 끝은 좁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 톱니가 있고 앞면에 광택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5~10mm, 연한 털로 덮여 있다. 턱잎은 피침형이다. 꽃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2.5~3.0cm, 분홍색이다. 꽃받침잎은 삼각상 난형이고 길이 6~10mm, .. 2022. 6. 14.
매자나무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매자나무입니다. 잎 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서 노란 꽃을 총총이 매달고 있었고 줄기에 긴 가시가 있었습니다. 국명 : 매자나무 학명 : Berberis koreana Palib.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매자나무속 분포 : 우리나라 함남 원산 이남, 강원, 경기, 충북 등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생태 : 고도가 낮은 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와 하천 주변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2m 정도이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형태 :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갈리고, 어린가지는 적색 또는 암갈색이고 마디에 대개 3개로 갈라진 가시가 있으며, 가시는 길이 0.5~1cm, 밑이 넓게 퍼져 있다. 잎은 새가지에.. 2022. 6. 14.
꽃장포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꽃장포입니다. 보고싶었던 꽃장포를 식물원의 온실에서 보았습니다. 야생은 아니었지만 꽃을 곱게 피우고 있어서 반가왔습니다. 국명 : 꽃장포 학명 : Tofieldia coccinea var. koreana (Ohwi) M.N. Tamura, S. Fuse & N.S. Lee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석장포속 분포 : 북부지방, 제주도(한라산) /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2~30cm이다. 잎은 2줄로 붙으며 선형, 길이 10~15cm, 끝은 뾰족하다. 꽃은 흰색이고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성글게 달리며, 꽃차례는 길이 3~6cm이다. 포엽은 타원형으로 끝은 뾰족하다. 꽃자루는 가늘며 길이 5~12mm이.. 2022. 6. 13.
광릉요강꽃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광릉요강꽃입니다. 야생에서 한 촉도 만나기가 어려운 꽃이라 보고싶어 하였는데 식물원에서 군락을 이룬 모습을 보아서 감동이었습니다. 국명 : 광릉요강꽃 학명 :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국명이명 : 광릉복주머니란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분포 : 국내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 소수 집단만이 확인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300~1,100m 산지의 양지바르고 배수가 양호한 숲속에 살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이 발달하고 관목층은 성글게 발달하는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지하부가 잠복하는.. 2022. 6. 13.
대극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대극입니다. 소나무 아래에서 무리를 지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대극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Boiss.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대극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전국 / 일본, 중국, 타이완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형태 : 뿌리는 굵고 곧으며, 길이 20~30cm, 두께 6~14mm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40~80cm, 위쪽에서 4~5개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7~9cm, 폭 7~17mm,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거나 앞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2022. 6. 13.
매발톱 (20220501) 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매발톱입니다. 국명 : 매발톱 학명 :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 C.A. Mey.) Kitam. 국명이명 : 매발톱꽃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매발톱속 분포 : 전국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7월에 핀다. 산지의 비교적 습기가 풍부하고 비옥한 토양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매끈하고 자줏빛이 돌며, 높이 30~130cm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겹잎이며,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다. 꽃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5.. 2022. 6. 13.
함박이 (20200709) 제주도 식물원 조성지에서 본 함박이입니다. 비가 내리는 날에 찾아간 식물원은 한창 조성 중이었으며 이슬비를 맞고 작은 물방울이 맺힌 모습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식물명 : 함박이 학명 :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방기과 > 함박이속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필리핀,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홍도, 제주도와 거제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만경목 생육환경 : 바닷가나 저지대의 산야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약해서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내음성과 내건성도 약하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방패모양의 넓은 달걀모양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6-15cm, 폭 5-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엽병은.. 2020. 10. 11.
타래난초 (20200709) 제주도 식물원 조성지에서 본 타래난초입니다. 작은 연뭇 주변에서 비를 맞고 물방울을 매단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타래난초 학명 :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분류 : 난초과 타래난초속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잔디밭이나 논뚝 근처에서 흔히 자란다. 크기 : 높이 10-40cm. 잎 : 큰 근생엽은 길이 5-20cm, 나비 3-10mm로서 주맥이 들어가고 밑부분이 짧은 초로 되며 줄기잎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분홍색이며 나선상으로 꼬인 이삭꽃차례에 작은 꽃이 다수 옆을 향해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5-10cm, 지름 7-12mm이며 짧은 샘털이 있다. 포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020. 10. 11.
큰조롱 (20200709) 제주도 식물원 조성지에서 본 큰조롱입니다. 식물명 : 큰조롱 학명 :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분류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백미꽃속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양지바른 산록 풀밭, 돌이 많은 관목림 또는 바닷가 경사지에서 자란다. 크기 : 덩굴의 길이가 1-3m정도에 이른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삼각상 난심형 또는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둥글게 되어 양쪽 열편의 변두리가 접근하며 길이 5-10cm, 폭 4-8cm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원줄기 밑부분의 것은 길며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맥위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 2020.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