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기괭이눈33

애기괭이눈 (20250319) 경남 창원시 근교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형성한다.            무성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cm가량이고,          털이 없고 3~7개로 .. 2025. 4. 1.
애기괭이눈 열매 (20240605) 강원도 인제군의 높은 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꽃은 지고 씨를 달고 있었습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형성한다.           무성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cm가량이고,     .. 2025. 2. 17.
애기괭이눈 (20240303) 경남 창원시 근교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형성한다. 무성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cm가량이고, 털이 없고 3~7개로 깊이 파이는 톱니가 있다.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의 길이는 4cm, 너.. 2024. 3. 20.
애기괭이눈 (20240224) 전남 순천시 근교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형성한다. 무성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cm가량이고, 털이 없고 3~7개로 깊이 파이는 톱니가 있다.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의 길이는 4cm, 너.. 2024. 3. 12.
애기괭이눈 (20230408) 경북 봉화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형성한다. 무성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cm가량이고, 털이 없고 3~7개로 깊이 파이는 톱니가 있다.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 2023. 5. 1.
애기괭이눈 (20220311) 전남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계곡의 바위에 붙어서 애기괭이눈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물이 차가왔을텐데도 꽃을 피운지가 조금 되었는지 꽃이 지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노란색 꽃에 노란 꽃술이라 초점을 제대로 맞추기가 어려워 꽃이 제대로 담겨지지가 않았습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 2022. 3. 29.
애기괭이눈 (20210402) 2021년 4월 2일에 경북 봉화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계곡의 이끼가 낀 돌 위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골짝 습한 바위겉에서 자란다. 크기 : 꽃대는 길이 5-15cm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흔히 없어지고 새싹에서 돋은 잎은 근생엽같지만 엽병이 길며 길이와 폭이 각 4cm로서 크고 밑부분이 뚜렷한 심장저이며 겉에 털이 있다. 줄기잎은 심원형이고 둥근 톱니가 있으며 길이 3-10mm, 폭 4-12m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꽃 : 꽃대는 길이 5-15cm로서 잎이 .. 2022. 1. 12.
애기괭이눈 (20200407) 경북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물가에도 많이 보였지만 계곡의 바위에서 자라는 애기괭이눈도 더러 보였습니다. 식물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 2020. 5. 12.
애기괭이눈 (20200311) 창원의 계곡에서 만난 애기괭이눈입니다. 물이 흐르는 계곡에 애기괭이눈이 제법 많이 보였습니다. 식물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골짝 습한 바.. 202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