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106

거제딸기 (20210521) 거제도 야산에서 본 거제딸기입니다. 줄기에 노란색 열매를 매달고 있습니다. 식물명 : 거제딸기 학명 : Rubus longisepalus var. tozawai (Nakai) T.B.Lee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분포 : 한국(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거제시, 진해시, 통영시; 제주도 서귀포시) 형태 : 낙엽 아관목 잎 : 잎이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세갈래로 갈라진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에 밀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그리 길지 않고 긴 달걀모양이며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6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1년 5월 21일 경남 거제도 야산에서 2021. 6. 27.
팥배나무 (20210506) 강원도 계곡에서 본 팥배나무입니다. 식물명 : 팥배나무 학명 :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C.Koch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마가목속 분포 : 중국 남부 ~ 북부 및 동북지역 분포, 극동러시아 남부, 일본 전역; 한반도 전역.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생육환경 : 토양은 아무곳에서나 잘 자란다. 산능선부의 건조지에서 잘 생육하고 있다. 척악지와 사방지에서도 잘 자란다. 크기 : 높이 15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달걀꼴로, 끝은 넓은 점첨두이고, 원저로, 길이와 폭은 각 5 ~ 10cm× 3.5 ~ 7c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거치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1 ~ 2cm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없어진다. 꽃 : 편평꽃차례는 가지 끝이 달리고 .. 2021. 6. 13.
거제왕찔레 (20210501) 경남 창원의 저수지 옆에서 본 거제왕찔레입니다. 정식으로 등록은 되지 않은 거제왕찔레는 거제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찔레꽃과 비슷하나 왕이라고 한 것을 증명하듯 꽃의 크기가 찔레꽃보다 2-3배는 큰 것 같았습니다. 2021년 5월 1일 경남 창원의 저수지 옆에서 2021. 6. 4.
가침박달 (20210428) 경북의 야산에서 본 가침박달입니다. 꽃은 핀지가 조금 된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가침박달 학명 :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가침박달속 분포 : 평안남북도, 황해도, 경기도 해안가 및 함경북도에도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수형:원개형. 생육환경 : 햇빛이 잘 드는 산록의 비교적 비옥한 토양에서 주로 자란다. 크기 : 높이 1 ~ 5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5~9cm, 폭 2.5 ~ 4cm로서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3.. 2021. 5. 30.
수리딸기 (20210330) 광주 근교의 야산에서 본 수리딸기입니다. 길게 늘어진 줄기에 흰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수리딸기 학명 : Rubus corchorifolius L.f.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전라남도, 제주도에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내음성은 약하나 내건성은 강하고, 서울지방에서도 풍충이 적은 곳에서는 월동이 가능하여 덤불을 형성한다. 겨울딸기와는 다르며 양지쪽에 잘 자란다. 크기 : 높이 1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꼴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가 8 ~ 15cm로, 3출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털이 밀생한다. 잎자루 길이.. 2021. 4. 30.
매화 (20210303) 전남 목포 바닷가 야산에서 본 매화입니다. 매실나무 몇 그루가 분홍색 매화를 곱게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매실나무 학명 :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경기, 황해도에서 야생 또는 재배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생육환경 : 서북향이 막힌 양지바른 곳이면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 어디에서나 잘 자라나 내염성이 약한 편이어서 해안지방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크기 : 높이 4-6m 정도, 직경 60㎝정도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 2021. 3. 11.
매화 (20210227) 너도바람꽃을 보러 가서 본 매화입니다. 갓 꽃망울을 터뜨리는 매화가 참 고왔습니다. 식물명 : 매실나무 학명 :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경기, 황해도에서 야생 또는 재배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생육환경 : 서북향이 막힌 양지바른 곳이면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 어디에서나 잘 자라나 내염성이 약한 편이어서 해안지방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크기 : 높이 4-6m 정도, 직경 60㎝정도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 2021. 3. 5.
윤노리나무 열매 (20201208) 창원의 수목원에서 본 윤노리나무 열매입니다. 빨간 열매가 탐스럽습니다. 식물명 : 윤노리나무 학명 :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윤노리나무속 분포 : 중국, 일본;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울릉도에 분포하지만 일부 경기도와 강원도에도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내한성이 강하고 음지나 양지를 가리지 않으며 수풀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내건성은 보통이고 내공해성, 내염성은 약하고 생육이 더딘 편이며 병충해가 비교적 적다 크기 : 높이 5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거꿀달걀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는 3~8cm 폭 2-5㎝이고, 잎자루는 길이 1~5mm로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 2021. 1. 26.
산사나무 열매 (20201208) 창원의 수목원에서 본 산사나무 열매입니다. 식물명 : 산사나무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산사나무속 분포 :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크기 : 높이 6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능상 달걀모양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 너비 4 ~ 7cm로서 5~9개의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열편은 흔히 주맥까지 갈라지고 양면의 주맥과 측맥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 2~6cm이며 턱엽은 크고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잎이 핀 다음에 피고 지름 1.8㎝로서 백색 또는 담홍색이며 편평.. 2021.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