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437 금새우난초(20140522) 2014년에 제주도에서 본 금새우난초입니다. 숲속에서 노란색 꽃을 탐스럽게 피웠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많은 야생난초가 분포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금새우난은 노랑색의 꽃을 피우는 관상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다.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의 하나이며, 국제협약의 하나인 CITES[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의하여 보전되고 있는 식물이다. 새우난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새우처럼 마디가 있기 때문이며, 금새우난이라는 말은 노란색의 꽃을 피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여러해살이 식물로 잎은 다음해 봄에 새잎과 교체되며, 새로 나온 잎은 엽초를 쌓고 곧추섰다가 잎이 점점 벌어지면서 자란다. 잎은 2~3장이 밑에 올라오고 주름이 많으며, 긴타원형처럼 생겼다. 잎의 길이는 15~.. 2021. 6. 2. 갈매기난초(20140522) 2014년에 제주도에서 본 갈매기난초입니다. 외떡잎식물 미종자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양지 또는 숲속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가 약간 굵고 옆으로 퍼지며, 제일 큰뿌리에서 새싹이 돋는다. 높이는 40∼6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에 달린 3∼5개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밑쪽은 잎집으로 되고 길이 12∼20cm, 나비 4∼7cm이지만 위쪽의 2∼4개는 작아져 포(苞)와 연결된다. 초여름에 줄기 끝에 1개의 길이 10∼20cm의 꽃이삭이 달리며 많은 흰색 꽃이 피고, 포는 꽃보다 약간 길며 실처럼 가늘고 긴 바소꼴이다. 중앙부의 꽃받침은 타원형이고 꽃잎은 육질(肉質)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끝이 둔하다. 입술꽃잎은 줄 모양이고 약간 길며, 꿀주머니는 밑으로 처진다. 한국(제.. 2021. 6. 2. 석곡(20140520) 2014년에 제주도에서 본 석곡입니다. 나무 둥지에 붙어서 자라고 있습니다. 꽃이 풍성하게 피었습니다.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초. 키는 20㎝정도로 뿌리줄기는 조금 굵고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 난다. 가죽질의 잎은 길이가 4~7㎝, 너비가 7~15㎝로 어긋나는데, 오래 지나면 떨어져 부풀어 있는 마디만 남는다. 연한 붉은색 또는 회색의 꽃은 향기가 진하며 5~6월경 줄기 끝에 1~2송이씩 핀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식물 전체를 그늘에 말려 발기부전에 사용하거나 진통제나 건위제로 사용한다. 남쪽 지방의 그늘진 바위 위나 죽은 나무 위에서 자라며 관상용으로 널리 심고 있다. -다음 브리태니커 2021. 6. 2. 한라개승마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에서 본 한라개승마입니다. 한라산을 오르지 않고 낮은 곳에서 만날 수 있어 반가왔지만 높은 곳에서 보는 한라개승마와는 다른 분위기가 느껴졌습니다. 식물명 : 한라개승마 학명 : Aruncus aethusifolius (H.Lev.) Nakai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눈개승마속 분포 : 한국(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한라산 냇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cm이다. 잎 : 잎은 넓은 삼각형이며 2회우상 3출엽이고 열편은 달걀모양이며 정열편이 가장 크고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며 결각상으로 갈라지고 어긋나기한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원추상 총상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백색털이 있으며 포는 선형이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꽃대 중앙부의 것은.. 2020. 10. 13. 창포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의 연못 옆 습지에서 본 창포입니다. 이삭꽃차례의 꽃대에 꽃은 보이지 않고 씨를 영글고 있는 모습입니다. 식물명 : 창포 학명 : Acorus calamus L.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창포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 미국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드는 30cm 미만의 얕은 물속이나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 크기 : 잎의 길이가 70cm 정도이다.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나기하며 길이 70cm, 나비 1-2cm로서 선형이고 나란히 맥이 있으며 주맥이 뚜렷하고 대검같으나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 꽃 : 꽃대는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앙부에 5cm 정도의 이삭꽃차례가 6-7월경에 비스듬히 옆으로.. 2020. 10. 13. 좀개불알풀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의 풀밭에서 본 좀개불알풀입니다. 좀이란 말이 든 이름처럼 크기가 작은 개체였습니다. 식물명 : 좀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serpyllifolia 분류 : 통화식물목 현삼과 분포 : 한국, 아시아, 동유럽, 아프리카 형태 : 원산지가 열대 아시아, 호주 동부, 유럽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제주도의 높은 지대 풀밭 크기 : 높이 10~15㎝ 잎 : 잎은 마주나기하지만 위쪽에서는 어긋나기도 하며, 달걀 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거나 밋밋한 편이다. 꽃 : 꽃은 4~6월에 줄기 끝에 흰색 또는 연한 청자색 꽃이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이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보라색 줄.. 2020. 10. 12. 순채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의 연못에서 본 순채입니다. 식물명 : 순채 학명 : Brasenia schreberi J.F.Gmelin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수련과 > 순채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미국, 아프리카 / 한국(강원도 고성군; 제주도)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며 관엽식물이다. 생육환경 : 작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크기 : 길이는 6~10cm,직경은 4~6cm정도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잎이 피려고 할 때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같은 점질의 투명체로 덮이며 완전히 자란 잎은 수면에 뜨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6~10cm, 직경 4~6cm로서 중앙부에 엽병이 있으며 뒷면은 검붉은 자줏빛이 난다. 잎은 두껍고 진록색이며, 광택이 난다. 꽃 : 꽃.. 2020. 10. 12. 까마귀베개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에서 본 까마귀베개입니다. 식물명 : 까마귀베개 학명 : Rhamnella franguloides (Maxim.) Weberb. 분류 : 갈매나무목 > 갈매나무과 > 까마귀베개속 분포 : 남쪽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표고 1,100m까지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또는 소교목 생육환경 : 내한성이 강하여 서울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며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나 건조한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크기 : 높이 7m 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12cm, 너비 2.5-4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 2020. 10. 12. 기장대풀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의 연못가에서 본 기장대풀입니다. 식물명 : 기장대풀 학명 : Isachne globosa (Thunb.) Kuntze 분류 : 화본목 > 벼과 > 기장대풀속 분포 : 울릉도를 제외하고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물가나 습지에서 크게 무리지어 자란다. 크기 : 높이 30~60cm로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4~7cm, 폭 3~7mm로서 껄끄럽고, 엽초는 짧고 밋밋하며 잎혀는 털이 줄로 배열된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3~7cm의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루며 가지는 가늘고 느슨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상반부에 소수(小穗)가 드문드문 달린다. 꽃자루는 연한 황색 선점이 있고 위끝이 굵으며 소수는 도란상 구형이고 길이 2-2.. 2020. 10. 1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