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437

말똥비름 (20200604) 제주의 작은 사찰 축대에서 본 말똥비름입니다. 식물명 : 말똥비름 학명 : Sedum bulbiferum Makino 분류 : 장미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생육환경 : 논밭근처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7-22cm. 잎 : 잎은 원줄기 밑부분의 것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짧으며 달걀모양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이 없어지고 길이 10~15mm, 폭 2-4mm로서 끝이 둔하다. 잎겨드랑이에 생기는 2쌍의 잎이 달려있는 둥근 살눈으로 번식한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0~14mm로서 황색이고 꽃대가 없으며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취산꽃차례가 발달하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며 꽃밑.. 2020. 7. 26.
대반하 (20200604) 제주의 숲속에서 본 대반하입니다. 식물명 : 대반하 학명 :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반하속 분포 :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서 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살눈이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10-20㎝이다. 꽃 : 꽃대는 20-50㎝,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으로판연은 달걀모양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0년 6월 4일 제주의 숲속에서 2020. 7. 26.
콩짜개란 (20200604) 제주의 숲속에서 본 콩짜개란입니다. 절벽의 바위에 붙어서 자라며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콩짜개란 학명 :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ex Okub. 분류 : 난초과 콩짜개란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제주도) 형태 : 상록 다년초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7-13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뽀족해지며 언뜻 보기에 콩짜개덩굴같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잎 옆에서 가는 꽃대가 나와 연한 황색 꽃이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화경은 길이 7-10mm로서 밑부분에 포가 달리며 포는 길이 1.5mm정도이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2020. 7. 24.
제주무엽란 (20200604) 제주의 숲속에서 본 제주무엽란입니다. 무엽란과 비슷하나 줄기와 꽃에 자색의 기운이 감돕니다. 식물명 : 제주무엽란 학명 : Lecanorchis kiusiana Tuyama 분류 : 난초과 무엽란속 분포 : 제주도 상록 광엽수림 밑에 나는 부생란(腐生蘭)이다. 형태 : 부생란 크기 : 키 10-20㎝이다. 꽃 : 줄기 끝에 수 송이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홍색을 띤 담황색이고 길이 1㎝미만이고 반쯤열린다. 꽃받침과 곁꽃잎은 피침형으로 길이가 서로 같다. 입술모양꽃부리는 끝이 3갈래이고 가운데 열편에 물결모양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에 젓꼭지모양 돌기가 드문드문 있으며, 측열편은 작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곧게 서며, 황갈색이나 마르면 검은색이다. 특징 : 잎이 없는 부생란이며 마르면 흑색으로 .. 2020. 7. 24.
무엽란 (20200604) 제주의 숲속에서 본 무엽란입니다. 이름처럼 잎은 보이지 않고 줄기 끝에 꽃만 피었습니다. 식물명 : 무엽란 학명 : Lecanorchis japonica Blume 분류 : 난초과 무엽란속 분포 : 일본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완도군; 한라산) 형태 : 무엽균근식물,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홍도의 동백나무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는 20-40㎝. 잎 : 잎이 없고 몇 개의 초상엽이 있다. 초상엽은 다소 막질로서 길이 5-8mm이며 밑부분에서는 초가 생기지만 윗부분에서는 초가 생기지 않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 끝에 수 송이가 붙고 길이 1.5-2㎝로서 반 정도 벌어지며 보통 흰색이지만 때로는 연한 갈색이 돌고 약간 향기가 있다. 씨방은 꽃대같고 길이 1.5-3㎝이며 포.. 2020. 7. 24.
차걸이란 (20200604) 제주도 숲속 작은 사찰에서 만난 차걸이란입니다. 나무에 붙어서 자라며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차걸이란 학명 :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분류 : 난초과 차걸이란속 분포 : 일본, 대만 / 한국(제주도) 생육환경 : 숲 속의 큰 나무에 붙어서 밑을 향해 자란다. 잎 : 잎은 4∼10개가 2줄로 배열하고 좌우가 납작하며 길이 1∼3cm의 긴타원모양 또는 바소꼴이고 약간 육질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4∼6월에 노란빛이 도는 연한 갈색으로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가 2∼8cm이며 밑으로 처지고, 꽃대는 길이가 1∼2cm이다. 포는 꽃대에서 돌려나고 전형이며 막질이고 길이가 0.5∼2mm이며 끝이 뾰족하게 퍼진다... 2020. 7. 23.
석곡 (20200604) 제주의 작은 사찰에서 본 석곡입니다. 나무에 붙어서 자라며 꽃을 피웠습니다. 식물명 : 석곡 학명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분류 : 난초과 석곡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강원도; 전라남도 목포시, 완도군; 경상남도; 제주도) 형태 : 상록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바위 겉이나 노출된 큰키나무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cm 잎 : 잎은 2-3년생이며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4~7cm, 폭 7~15mm로서 진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이며 향기가 있고 2년전의 원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밑부분에 비늘같은 것이 약간 달린다. 중앙부의 꽃받침조각은 .. 2020. 7. 23.
콩짜개덩굴 (20200604) 숲속 작은 사찰에서 본 콩짜개덩굴입니다. 나무에 붙어서 자라며 잎에 포자를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콩짜개덩굴 학명 : Lemmaphyllum microphyllum C.Presl 분류 : 난초과 콩짜개덩굴속 분포 :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과 도서지방, 대둔산, 태백산, 변산반도 등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이고 난대성 양치식물에 속한다. 잎 : 잎은 영양잎과 포자엽이 있는데, 영양잎은 원형 도는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6~15mm 정도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근경 양쪽으로 퍼지며 엽병은 길이 1~4mm 정도로 짧다. 엽병 밑부분에는 마디가 있으며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포자낭이 달리는 포자엽은 주걱모양으로 길이 2~4cm, 나비 3~4mm 정도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 2020. 7. 23.
일엽초 (20200604) 제주의 작은 사찰에 있는 나무에 붙어서 자라는 일엽초입니다. 잎에 두줄의 포자가 뚜렷하였습니다. 식물명 : 일엽초 학명 :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분류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고란초과 > 일엽초속 분포 :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울릉도), 제주도 형태 : 남부지방의 숲 속 바위나 늙은 나무의 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에 자라는 고목의 줄기나 바위 틈 잎 :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서 나오며 홑잎이며, 가죽질이고, 길이 10-30cm다. 잎몸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 끝이 좁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작은 구멍처럼 보이는 점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잎줄이 뚜렷하다. 잎이 마르면 가장자리가 뒤.. 2020.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