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437 멀구슬나무 (20181212) 나무 가지에 열매가 총총이 달렸습니다. 5월말에 보라색 꽃을 피우는 멀구슬나무입니다. 식물명 : 멀구슬나무 학명 : Melia azedarach L. 분류 : 쥐손이풀목 > 멀구슬나무과 > 멀구슬나무속 분포 : 전남, 경남 및 제주에서 식재.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생육환경 :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자라.. 2019. 1. 30. 광치기 해변에서 (20180906) 제주에 가면 성산에 숙소를 잡고 새벽에 광치기해변으로 나가서 일출을 구경하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이번에도 새벽 5시에 광치기해변으로 나갔습니다. 이른 시간에 잠도 설치고 나갔는데 광치기해변에 도착을 하여 바다를 보니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습니다. 바다 위로 두터운 구름이.. 2018. 10. 8. 비비추난초 (20180524) 제주의 휴양림에서 만난 비비추난초입니다. 비비추난초가 대단한 군락을 이루며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비비추난초 학명 : Tipularia japonica Matsum. 분류 : 난초과 비비추난초속 분포 : 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남도 해남군;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숲속에서 자란다. 크.. 2018. 7. 4. 차걸이난 (20180524) 제주 비자림에서 만난 차걸이난입니다. 나무 둥지에 붙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차걸이란 학명 :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분류 : 난초과 차걸이란속 분포 : 제주도 생육환경 : 숲 속의 큰 나무에 붙어서 밑을 향해 자란다. 잎 : 잎은 4∼10개가 2줄로 배열하고 좌우가 납작하며 .. 2018. 6. 28. 갈매기난초 (20180524) 오름의 산자락에서 본 갈매기난초입니다. 입구에서 한 개체를 본 뒤에 더 깊이 들어가니 여러 개체가 나란히 줄을 지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무리로 자라는 모습이 너무 고왔습니다. 식물명 : 갈매기난초 학명 : Platanthera japonica (Thunb.) Lindl. 분류 : 난초과 제비난초속 분포 : 강원도 .. 2018. 6. 28. 인동덩굴 (20180524) 제주 비자림에서 만난 인동덩굴입니다. 돌담 위에서 줄기를 세우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인동덩굴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분포 : 함경남북도를 제외한 전역 분포. 형태 : 반상록 활엽 덩굴성 관목. 크기 : 높이 3 ~ 4m. 잎 : 잎은 마주나.. 2018. 6. 28. 장딸기 (20180524) 제주 비자림에서 만난 장딸기입니다. 식물명 : 장딸기 학명 : Rubus hirsutus Thunb.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분포 : 전라남도 및 제주도.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생육환경 : 햇빛이 잘 들고 적당한 보습성을 갖는 토양에서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와 군집을 형성한다. .. 2018. 6. 28. 박쥐나무 (20180524) 하얀 꽃잎에 노란색 꽃술이 노리개를 닮았습니다. 비자림에서 만난 박쥐나무입니다. 식물명 : 박쥐나무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분류 : 산형화목 >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속 분포 : 전국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그늘진 나무 숲속의 습기가 적당한 .. 2018. 6. 27. 합다리나무 (20180524) 제주 비자림에서 만난 합다리나무입니다. 식물명 : 합다리나무 학명 : Meliosma oldhamii Maxim. 분류 : 무환자나무목 > 나도밤나무과 > 나도밤나무속 분포 : 중부 이남에 자생.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생육환경 : 내한성이 약하여 서울지방에서는 때로 동해를 받고 음지에서 잘 견디며, 건.. 2018. 6. 27.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