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41 산부추 (20211006) 충북 영동군의 강변에서 본 산부추입니다. 강변의 바위 위에서 꽃을 피우고 있어 강부추가 아닌가 생각을 하였는데 다들 산부추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산부추와 강부추는 잎 모양이 다르다고 하는데 강부추는 잎 단면이 원형이거나 뒷면이 다소 눌려 있으며 중륵이 없는데 비해 산부추는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지는데 단면이 삼각형이라고 하였습니다. 식물명 : 산부추 학명 : Allium thunbergii G.Don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부추속 분포 : 전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 숲속 , 초원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는 30~60cm이다. 잎 : 잎은 2~5mm정도의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진다. 흰색이 도는 초록색으로 단면은 삼각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꽃대 .. 2021. 11. 28. 나도하수오 (20211006) 충북 영동군의 강변에서 본 나도하수오입니다. 나무를 타고 자라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나도하수오 학명 : Fallopia ciliinervis (Nakai) Hammer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닭의덩굴속 분포 :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평안북도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능선을 따라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 길이가 2m 가량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6-11cm, 폭 3-6cm이며, 심장저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5cm로서 밑부분에 환절이 있으며 표면에 홈이 있고 뒷면에 잔돌기 또는 잔털이 있다. 잎이 없는 마디에 달린 엽초 모양의 턱잎은 .. 2021. 11. 28. 바위솔 (20211006) 충북 영동군의 정자 지붕에서 본 바위솔입니다. 기와지붕의 기와 사이에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분류 : 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바위 겉에 붙어서 자란다. 전국의 오래된 기와장 위, 돌담 또는 바위 등의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곳에 생육한다. 크기 : 높이 약 30cm이다.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엽병이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족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분을 .. 2021. 11. 28. 영동바위솔 (20211006) 충북 영동군 야산 자락에서 본 영동바위솔입니다. 이끼가 자라는 바위 위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영동에서 본 바위솔이라고 영동바위솔이라 부르는데 정식으로 등록이 되지 않은 영동바위솔입니다. 다들 바위솔과 차이가 없다고들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다들 영동바위솔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식물명 : 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분류 : 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바위 겉에 붙어서 자란다. 전국의 오래된 기와장 위, 돌담 또는 바위 등의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곳에 생육한다. 크기 : 높이 약 30cm이다.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 2021. 11. 26. 바위솔 (20211006) 충북 영동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바위솔입니다. 식물명 : 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분류 : 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바위 겉에 붙어서 자란다. 전국의 오래된 기와장 위, 돌담 또는 바위 등의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곳에 생육한다. 크기 : 높이 약 30cm이다.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엽병이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족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분을 바른 듯한 백색을 띤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 2021. 11. 26. 나도송이풀 (20211006) 충북 영동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나도송이풀입니다. 식물명 : 나도송이풀 학명 : 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 Kanitz 분류 : 통화식물목 > 현삼과 > 나도송이풀속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반기생 일년초. 생육환경 :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30-60cm정도에 이른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cm, 폭 2-3.5cm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불규칙하게 깊게 갈라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2mm이고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으로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피어 총상꽃차례꼴을 이루며 꽃받침은 종형이고 비스듬.. 2021. 11. 26. 괴산 문광지 (2021103) 1월 3일에 찾은 괴산의 문광지에는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들고 있었습니다. 은행나무가 물든 도로를 지나는 사람들은 환호성을 지르기도 하였습니다. 저수지에 담긴 은행나무의 반영도 고왔습니다. 2021년 11월 3일 괴산 문광지에서 2021. 11. 21. 뻐꾹나리 (20200818) 충북의 야산 계곡에서 본 뻐꾹나리입니다. 계곡의 산자락에 뻐꾹나리가 꼴뚜기 모양의 꽃을 곱게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뻐꾹나리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광릉 이남)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지의 숲속 크기 : 높이 30~100cm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2~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하엽은 털이 없으나 중부 이상의 잎은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거친 털이 많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으로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하부에 황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고 줄기 끝과 상.. 2020. 10. 18. 삼도하수오 (20200818) 충북의 야산 임도에서 본 삼도하수오입니다. 식물명 : 삼도하수오 학명 : Fallopia koreana B.U.Oh & J.G.Kim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닭의덩굴속 분포 : 한반도(충청북도 민주지산, 경상북도 황학산, 전라남도 지리산)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사면이나 능선의 양지에서 서식한다. 생육기간은 5~11월이다. 잎 :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길이 5~15cm, 너비 3~7cm, 엽병의 길이 1.5~7cm이다. 꽃 : 꽃은너비 3~3.5mm, 길이 4~5mm의 이삭꽃차례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1~2cm, 너비 0.3~0.5cm의 거꾸로 선 달걀형이며 짙은 갈색으로 표면이 매끄러운 세모진모양이다. 줄기 : 줄기에 인접한 뿌리 부위는 비후하며, 비후되거나.. 2020. 10. 1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