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창군42

쉬땅나무 (20220729)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쉬땅나무입니다. 국명 : 쉬땅나무 학명 : 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쉬땅나무속 분포 : 경기도, 강원도, 북한 지역 내몽골,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중부지방 이북의 골짜기 주변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산골짝 습한 곳에 드문드문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관상용으로 정원 또는 울타리에 심기도 한다. 형태 : 줄기는 높이 2m에 달하며, 여러 대가 모여난다. 잎은 어긋나며, 기수우상복엽이고, 길이 20~30cm이다. 작은 잎은 13~23장이며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6~10cm, 폭 1.8~2.5cm이고, 점첨두, 원저이다.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있.. 2022. 9. 27.
흰처녀치마 (20220405) 강원도 평창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흰처녀치마입니다. 먼길을 달려왔다고 흰처녀치마가 하얀색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달랑 한 개체이지만 흰색 꽃을 피운 흰처녀치마가 무척이나 고운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흰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Nakai) Ohwi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처녀치마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사할린,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비교적 고도가 낮은 계곡 주변과 능선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전체에 털이 없다. 형태 : 뿌리줄기는 0.8~1.8cm이고 마디 사이의 간격이 좁다. 아래쪽에서 자라는 잎은 길이 8~20cm, 끝부분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2022. 5. 9.
처녀치마 (20220405) 강원도 평창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처녀치마입니다. 바닥에 전년도 묵은 잎을 치마처럼 늘어뜨리고 꽃대 끝에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국명 : 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koreana S. Fuse, N. S. Lee & M. N. Tamura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처녀치마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사할린,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비교적 고도가 낮은 계곡 주변과 능선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전체에 털이 없다. 형태 : 뿌리줄기는 0.8~1.8cm이고 마디 사이의 간격이 좁다. 아래쪽에서 자라는 잎은 길이 8~20cm, 끝부분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4월에 피는데 위쪽을 향해 달리는데, 3~10개씩 모여 달리고.. 2022. 5. 9.
올괴불나무 (20220405) 강원도 평창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올괴불나무입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국명 : 올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praeflorens Bata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분포 : 전국(제주도 제외) / 러시아(동시베리아), 중국(동북부) 생태 : 낙엽 떨기나무다. 꽃은 3~4월에 피며,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3m, 속이 흰색으로 꽉 찬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어린잎은 양면에 흰색 털이 많다. 잎자루는 길이 2~4mm다. 꽃은 잎보다 먼저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3~8mm의 꽃자루 위에 2개씩 피며, .. 2022. 5. 8.
노루귀 (20220405) 강원도 평창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노루귀입니다. 국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산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뿌리에서 난 1~6개의 꽃줄기에 위를 향해 피고, 흰색, 분홍색, 보라색이며, 지름 1.0~1.5cm다. 꽃.. 2022. 5. 8.
투구꽃 흰꽃 (20210911)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투구꽃입니다. 자주색 꽃을 피운는 투구꽃인데 흰색으로 꽃을 피운 투구꽃을 만나서 많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심산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m에 달한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 2021. 10. 31.
투구꽃 (20210911)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투구꽃입니다. 식물명 :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심산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m에 달한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 2021. 10. 31.
촛대승마 (20210911)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촛대승마입니다. 숲속에서 촛불을 밝힌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촛대승마 학명 : Cimicifuga simplex (DC.) Turcz.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승마속 분포 : 전국 각처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깊은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2-3회 3개씩 갈라지고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이 3-8cm, 폭 1.5-5cm로서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위에 털이 성글게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에 이르는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 2021. 10. 31.
곰취 (20210911)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곰취입니다. 식물명 : 곰취 학명 :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분류 : 국화과 곰취속 분포 : 전국 고산지대인 깊은 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태 : 깊은 산 습지에서 주로 자라나 해발 고도에 따라 생육지의 주변 환경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500m 이상에서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풀밭에 다른 잡초들과 섞여서 생육하고 낮은 곳에서는 낙엽수림 하부의 북사면에 주로 생육한다. 크기 : 높이가 1-2m이다. 잎 : 근생엽은 길이가 85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며 콩팥모양이고, 길이 32cm, 폭 40cm로 가에는 규칙적인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가 60cm 정도로 날개가 없다. 줄기잎은 보통 3개가 달리고 .. 2021.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