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밭26

노란별수선 외 - 김해시의 풀밭에서 (20230915) 2023년 9월에 경남 김해시의 풀밭에서 본 노란별수선입니다. 국명 : 노란별수선 학명 : Hypoxis aurea Lour.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Hypoxidaceae 노란별수선과 > Hypoxis 노란별수선속 분포 : 제주도 네팔, 타이완, 미얀마,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햇빛이 잘 드는 삼나무숲 또는 소나무숲 가장자리에 자라며, 보통 억새가 함께 생육한다. 꽃은 6월에 핀다. 형태 : 덩이줄기는 구형, 실 모양으로 갈라진 줄기집에 덮여 있고, 많은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최대 12장이 모여나며, 선형, 길이 5~50cm, 폭 2~6mm, 단면은 삼각형, 끝은 뾰족하고 연갈색의 털이 있다. 꽃줄기는 길이 .. 2024. 2. 13.
잔개자리 (20230520) 울산시 근교의 야산 풀밭에서 본 잔개자리입니다. 국명 : 잔개자리 학명 : Medicago lupulina L.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Fabales 콩목 > Fabaceae 콩과 > Medicago 개자리속 분포 : 전국(귀화) 유럽(원산), 아시아, 북아메리카(귀화) 생태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10~60cm, 가지들은 땅에 눕거나 위를 향해 자라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넓은 도란형, 길이 5~20mm, 폭 5~20mm,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턱잎은 긴 난형이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 2023. 6. 22.
흰꽃광대나물과 큰광대노린재 (20230422) 흰꽃광대나물에 큰광대노린재가 놀고 있습니다.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에서 보았습니다. 국명 : 흰꽃광대나물 학명 : Lagopsis supina (Stephan ex Willd.) Ikonn.-Gal. ex Knorrg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gopsis 흰꽃광대나물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cm 정도, 네모지고, 밑에서부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으로 보통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깊은 톱니 모양이다... 2023. 5. 16.
흰꽃광대나물 (20230422)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에서 본 흰꽃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흰꽃광대나물 학명 : Lagopsis supina (Stephan ex Willd.) Ikonn.-Gal. ex Knorrg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gopsis 흰꽃광대나물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cm 정도, 네모지고, 밑에서부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으로 보통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깊은 톱니 모양이다.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줄기.. 2023. 5. 16.
백령풀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풀밭에서 본 백령풀입니다. 국명 : 백령풀 학명 : Diodia teres Walte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꼭두선이목 > 꼭두선이과 > 백령풀속 분포 : 중부지방 북아메리카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0~50cm, 짧은 털이 많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이 합쳐져서 줄기를 감싸며, 마디에 긴 털이 난다. 잎몸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2~4cm, 폭 0.2~0.5cm이다.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뒤로 조금 말린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 잎맥 위에 많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피며 연한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며, 길이 4~6mm이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은 4갈래.. 2022. 11. 17.
큰땅빈대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풀밭에서 본 큰땅빈대입니다. 식물명 : 큰땅빈대 학명 : Euphorbia maculat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에 분포. 형태 : 1년생 초본. 생육환경 :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60cm. 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등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 2022. 11. 17.
큰땅빈대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풀밭에서 본 큰땅빈대입니다. 식물명 : 큰땅빈대 학명 : Euphorbia maculat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에 분포. 형태 : 1년생 초본. 생육환경 :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60cm. 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등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 2022. 11. 17.
박주가리 흰꽃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풀밭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박주가리입니다. 국명 : 박주가리 학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박주가리속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생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덩굴지어 자라며, 녹색, 길이 2~4m,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며, 심장형, 길이 5~10, 폭 3~6cm,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2~5cm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7cm의 꽃대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지름 1.0~1.5cm다. 꽃자루는 4~6mm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녹색이다. 화관.. 2022. 11. 16.
박주가리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풀밭에서 본 박주가리입니다. 국명 : 박주가리 학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박주가리속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생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덩굴지어 자라며, 녹색, 길이 2~4m,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며, 심장형, 길이 5~10, 폭 3~6cm,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2~5cm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7cm의 꽃대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지름 1.0~1.5cm다. 꽃자루는 4~6mm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녹색이다. 화관은 넓은 종 모양..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