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안군189

만주바람꽃 (20220315)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5일 전에 노루귀를 보러 왔을 때는 제대로 보이지 않았던 만주바람꽃이 곳곳에서 꽃을 활짝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만주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 2022. 4. 4.
노루귀 - 흰색 (20220316) 경남의 야산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노루귀입니다. 만주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생지를 갔었는데 5일 전에 와서 보았던 노루귀가 여전히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산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2022. 4. 4.
노루귀 - 분홍 (20220316) 경남의 야산에서 본 분홍색 꽃을 피운 노루귀입니다. 만주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생지를 갔었는데 5일 전에 와서 보았던 노루귀가 여전히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산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 2022. 4. 4.
변산바람꽃 쌍두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변산바람꽃입니다. 한 꽃대에 두송이의 꽃을 피운 변산바람꽃 쌍두입니다. 혹을 달고 있는 것 같은 변산바람꽃도 쌍두인데 혹처럼 생긴 것이 작은 꽃봉오리입니다. 국명 : 변산바람꽃 학명 :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너도바람꽃속 분포 : 강원도, 경기도, 경북, 울산, 경남, 전북, 전남, 제주도 한라산 등 주로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계곡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전석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30cm쯤 자란다. 형태 :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땅속줄기는 구형으로 직경 1.5cm 내외이다. 뿌리잎은 오각상 원형으로 길.. 2022. 3. 27.
변산바람꽃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변산바람꽃입니다. 뒤태도 참 고왔습니다. 국명 : 변산바람꽃 학명 :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너도바람꽃속 분포 : 강원도, 경기도, 경북, 울산, 경남, 전북, 전남, 제주도 한라산 등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계곡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전석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30cm쯤 자란다. 형태 :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줄기는 구형으로 직경 1.5cm 내외이다. 뿌리잎은 오각상 원형으로 길이 3~5cm, 크게 세 열편으로 심열하고, 측열편은 또다시 2심렬하며, 각 열편은 깊게 심렬하여 최종적으로 선단부가 둔한 선.. 2022. 3. 25.
큰개불알풀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의 임도에서 본 큰개불알풀입니다. 임도변에 무리를 이루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큰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persica Poi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개불알풀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남부지방 / 유럽 생태 : 두해살이 식물로 꽃은 3~5월에 핀다. 형태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아래쪽이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아래쪽에서는 마주나지만 위쪽에서는 어긋나며, 난상 원형으로 길이 7~18mm, 폭 6~15mm이고, 가장자리에 끝이 둔한 톱니가 3~5개씩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하늘색, 지름 7~10mm이.. 2022. 3. 25.
노루귀 - 분홍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분홍색 꽃을 피운 노루귀입니다. 같은 산의 또다른 계곡에 들렸는데 그곳에도 노루귀가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꽃대에 털이 햇살을 받아서 빛나고 있었습니다. 국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산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 2022. 3. 24.
노루귀 - 흰색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노루귀입니다. 추위에 꽃을 피우려고 꽃대에 털이 많은 노루귀가 고왔습니다. 국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산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뿌리에서 난 1~6개의 꽃줄기에 위를 향해 피고,.. 2022. 3. 24.
꿩의바람꽃 (20220310)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꿩의바람꽃입니다. 보통 희색의 꽃을 피우는데 붉은 기운이 많이 감도는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꿩의바람꽃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전국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결실한다. 전국의 높은 산 낙엽활엽수림 밑에 습기가 많은 곳에 주로 자라지만 변산반도 등지에서는 저지대에서도 자란다. 형태 : 초본으로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15~20cm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1~2번 3갈래로 갈라지며, 보통 연한 녹색이지만 포잎과 함께 붉은빛을 띠는 경우도 많다. 꽃은 줄기 끝에 1개.. 2022.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