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대극16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 외 - 흡수골 호수 옆 숲속에서 (20240701) 아침 식사를 하고 작년에 묵었던 캠프 옆의 숲속에 꽃 탐사를 갔습니다.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이 피어서 반겨주었습니다. 작년보다 일찍 찾았는데 꽃은 작년보다 늦은 것 같았습니다. 마르타곤백합(Lilium martagon L.)도 피었습니다. 꿩의다리속도 보았습니다. Thalictrum foetidum L.인 것 같습니다. 바위에 단풍이 든 이끼가 있습니다. 가는잎쐐기풀(Urtica?angustifolia?Fisch. ex Hornem.)도 보았습니다. 손에 닿았는데 한참동안 뜨끔거렸습니다. 흰대극(Euphorbia esula L.)은 열매를 달고 있었습니다.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도 보았습니다. 긴 줄기에.. 2024. 10. 29. 은빛꼬리풀(Veronica incana L.) 외 - 차강호의 톨고이 게르에서(20240627) 보라색 꽃을 피우던 은빛꼬리풀(Veronica incana L.)이 호숫가 옆에서 분홍색 꽃을 피웠습니다. 색이 참 곱습니다. 보라색으로 꽃을 피운 은빛꼬리풀도 호숫가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호숫가에서 털북숭이 식물을 보았습니다. 신기한 모습입니다. 흰대극도 보았습니다. 꽃은 지고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산형과 식물도 호숫가에서 피었습니다. 왜우산풀(Pleurospermum camtschaticum?Hoffm.)로 보입니다. 호숫가에 냄새용머리(Dracocephalum foetidum Bunge)도 꽃을 피우고 자리하고 있습니다.왜지치인지 물망초인지 구분이 어려운 지치과 식물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호숫가의 돌밭에도 돌꽃이 피었습니다.긴개싱아도 꽃이 한창이었습니다. 익모초 비슷한 식물도.. 2024. 9. 11. 조개나물 외 - 불로동고분에서 (20230414) 지난 봄에 대구시의 불로동고분에서 본 조개나물입니다. 국명 : 조개나물 학명 : Ajuga multiflora Bunge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Ajuga 조개나물속 분포 : 전국 러시아(극동), 중국(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전체에 긴 흰색 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30cm다. 잎은 마주난다. 뿌리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17cm쯤이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4.0cm, 폭 0.7~2.0cm다. 꽃은 줄기 윗부분에서 5~10개씩 잎겨드랑이에 층층이 돌려 달리며, 자주색이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은 위쪽이 5갈래로 갈.. 2023. 11. 20. 흰대극 (20210427) 수목원에서 본 흰대극입니다. 소나무 아래에서 무리를 지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흰대극 학명 : Euphorbia esul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남부 도서지방의 해안가.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강한 광선이 내리쬐는 해안가의 모래땅이나 들에 생육. 크기 : 높이 20-4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약간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주걱모양이고 원두, 둔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짧은 가지에서는 꽃차례가 달리지 않는 포기의 윗부분에서 처럼 밀생하고 화서 밑의 잎은 5개가 돌려나기하며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차례는 산형이고 5개가 나와 2개씩 2번 갈라.. 2022. 2. 11. 흰대극 (20210421)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흰대극입니다. 식물명 : 흰대극 학명 : Euphorbia esul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남부 도서지방의 해안가.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강한 광선이 내리쬐는 해안가의 모래땅이나 들에 생육. 크기 : 높이 20-4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약간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주걱모양이고 원두, 둔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짧은 가지에서는 꽃차례가 달리지 않는 포기의 윗부분에서 처럼 밀생하고 화서 밑의 잎은 5개가 돌려나기하며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차례는 산형이고 5개가 나와 2개씩 2번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총포.. 2022. 1. 27.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몽골 초원에서 본 흰대극 Euphorbia esula L 입니다. 학명 : Euphorbia esul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남부 도서지방의 해안가.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강한 광선이 내리쬐는 해안가의 모래땅이나 들에 생육. 크기 : 높이 20-4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약간 밀생.. 2019. 12. 29. 뻐꾹채 외 - 차강호 호숫가에서 (20190630) 초원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차강호로 나왔습니다. 호숫가에 뻐꾹채가 풍성하게 자라서 꽃을 피웠습니다. 풀밭을 지나다가 양떼가 풀을 뜯고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무척 평화로운 모습이었습니다. 오랑캐장구채도 호숫가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노란색 꽃을 피운 갈퀴나물도 보입.. 2019. 10. 8. 뚝지치 외 - 차강호숫가에서 (20190629) 몽골의 차강호 주변에서 만난 꽃들입니다. 뚝지치로 보이는 지치과 식물입니다. 호숫가에서 솜다리도 다시 만났습니다. 6월에 몽골에는 솜다리를 곳곳에서 만날 수가 있었습니다. 노란색 콩과 식물을 만났습니다. 갯활량나물과 비슷한 모습이었습니다. 오후 꽃탐사를 시작하면서 만났던.. 2019. 10. 3. 뻐꾹채 외 - 엘트산에서 (20190624) 엘트산에서 만난 뻐꾹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보았던 뼈꾹채와 비슷하였습니다. 장구채도 만났습니다. 오랑캐장구채로 보입니다. 벼과 식물도 보입니다. 산능선을 내려오니 바람도 많이 불지 않았습니다. 비탈진 사면으로 내려오면서 피뿌리풀도 만났습니다. 내려오는 사면에도 여기저.. 2019. 9.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