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바닷가에서 본 갯방풍입니다.
안개가 심한 날에 찾았던 제주의 바닷가에서 이슬을 매단 방풍을 보았습니다.
식물명 : 갯방풍
학명 :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갯방풍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 한국(해안가 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각지의 해안에 자생할 정도이므로 토질이나 기후는 가리지 않으나
보수력이 있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가 이상적이다.
크기 : 높이 5-20cm이다.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지면을 따라 퍼지며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길이 10-20cm로서 3개씩 1-2회 갈라지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타원형, 거꿀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고
맥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끝이 둔두 또는 원두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때로 백색이고 딱딱해지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차례는 1-3개로서 긴 털이 밀생하며
10개의 소산경은 길이 4-6cm로서 각 20-40개의 꽃이 빽빽하게 달리고 소총포는 선형으로서 꽃보다 짧다.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은 각 5개이며 1개의 씨방하위가 있다.
악치편은 달걀모양이고 5개의 두꺼운 날개가 있으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밀착하고 길이 4mm로서 긴 털로 덮여 있으며 껍질은 코르크질이고 능선(綾線)이 있다.
줄기 : 높이 5-20cm이며 전체에 백색 융털이 밀포되고 줄기는 짧다.
뿌리 : 굵은 황색 뿌리가 땅속 깊이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빈방풍(浜防風)이라 한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0년 6월 5일 제주의 바닷가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갈퀴나물 (20200605) (0) | 2020.07.31 |
---|---|
갯장구채 (20200605) (0) | 2020.07.31 |
갯무 (20200605) (0) | 2020.07.30 |
갯까치수염 (20200605) (0) | 2020.07.30 |
갯강활 (20200605)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