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의 바닷가에 자리한 산자락에서 본 자루나도고사리삼입니다.

국명 : 자루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derma petiolatum Hook.
국명이명 : 좀줄고사리
분류 : 양치식물문 >솔잎난강 >고사리삼목 >고사리삼과 >다시마고사리속
분포 : 제주도 / 네팔,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군도
생태 : 하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덩어리지며, 지름 1.5mm쯤으로 끝에서 새로운 잎이 나온다.
공통 잎자루는 길이 2~10cm다.
영양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3~6cm, 폭 2~3cm,
밑은 잘린 것 같거나 급히 좁아지고,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며 그물맥이다.
포자잎은 영양잎의 아래쪽에서 나오며, 길이 6~16cm인 자루에 달린다.
포자낭수는 길이 2~4cm, 끝이 뾰족하다.
포자 표면은 작은 알갱이로 덮인 그물 모양이다.
이용 및 활용 : 어린순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 국내에 자생하는 나도고사리삼속의 다른 식물에 비해 영양잎에 짧은 잎자루가 있으므로 구분된다.
나도고사리삼은 영양잎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6~20cm로 보다 크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0년 9월 23일 남해안의 큰 섬 야산에서
'식물 > 양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풍경이끼 (20201027) (0) | 2020.12.31 |
---|---|
물고사리 (20201027) (0) | 2020.12.31 |
물고사리 (20200922) (0) | 2020.11.24 |
물석송 (20200919) (0) | 2020.11.18 |
거미고사리 (20200825) (0) | 202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