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군의 높은 산을 오르면서 본 종덩굴입니다.

국명 : 종덩굴
학명 :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러시아,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낙엽 덩굴나무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열매는 8~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길이 2~3m,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6cm, 폭 2~3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갈래로 갈라진다.
끝의 갈래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길이 2~4cm이다.
꽃자루에 잎처럼 생긴 포엽이 2장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4장,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 넓은 난형,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해설 : 북부지방에 자라는 검종덩굴(C. fusca Turcz.)에 비해 꽃받침 겉과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요강나물(C. fusca Turcz. var. coreana Nakai)과는 달리 완전한 덩굴식물이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6월 1일 강원도 정선군의 높은 산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참대 (20220601) (0) | 2022.08.01 |
---|---|
개다래 (20220601) (0) | 2022.08.01 |
요강나물 (20220601) (0) | 2022.07.31 |
오미자 (20220526) (14) | 2022.07.26 |
청괴불나무 (20220526)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