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양치류

고사리삼 (20241024)

by 청계 1 2024. 12. 27.

이반성의 경남수목원에서 본 고사리삼입니다.



국명 :  고사리삼
학명 :  Botrychium ternatum (Thunb.) Sw.
국명이명 : 꽃고사리  
분류 :   양치식물문 > 솔잎난강 > 고사리삼목 >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 Botrychium 고사리삼속 
분포 :  거의 전역 
            중국 중, 남부, 일본, 대만, 인도, 베트남 등 온대에서 난대 아시아 지역 [
생태 :  산지 숲속에 대부분 소규모의 군락을 이루어 자라지만 때때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자라기도 한다.
형태 :  겨울철에 푸르른 식물로 땅속줄기는 원통형이다. 
           공통엽병은 길이 1.5~4cm이고, 식물체 높이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며,

           털이 전혀 또는 거의 없고, 기부에 전년도 영양엽의 흔적이 없다. 
           영양엽은 3~4회 우상복엽으로 통상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3각 또는 5각형으로

           털이 전혀 또는 거의 없으며, 자루는 길이 3~13cm이다. 
           최종 열편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선단은 둥글거나 약간 예두이며,

           가장자리는 통상 둔거치, 드물게 전연이다. 
           포자엽은 포자 방출 후 시들며, 포자낭수는 타원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3~4회 우상복엽으로 자루는 길이 2.5~30cm이다. 
이용 및 활용 : 전초를 약용으로 사용하며(이창복, 1980), 

          늦고사리삼과 더불어 혈압강하제, 대하, 종독, 토혈, 열풍에 쓰인다(육창수, 1989). 
해설 : 본 분류군은 식물체의 생식엽과 영양엽의 공통 엽병의 길이가 식물체 전체에 비하여 짧고, 

          생식엽이 포자 방출 후에 마르며, 
          최종 열편의 가장자리가 전연 또는 둔거치인 점은 산고사리삼(B. robustum)과 유사하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4년 10월 24일 경남 이반성의 경남수목원에서 

'식물 > 양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고사리 외 - 황매산에서 (20230510)  (0) 2023.12.13
나도고사리삼 (20230418)  (0) 2023.05.15
금털고사리 (20230325)  (0) 2023.04.06
고사리삼 (20221005)  (7) 2023.01.15
꼬마붉은열매지의(영국병정지의) (20211211)  (0) 202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