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 숲에서 본 붉은겨우살이입니다.
나무 둥지에 줄기가 나오고 잎 사이에 빨간 열매를 매달고 있습니다.
식물명 : 붉은겨우살이
학명 : Viscum album f.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분류 : 단향목 > 겨우살이과 > 겨우살이속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기생식물이며 관엽, 관경(觀莖) 식물)
생육환경 : 여름에는 반그늘에서 자라고, 겨울에는 광선을 많이 받는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보통이다.
크기 : 높이 40-60cm. 직경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 : 줄기와 잎은 녹색으로 겨울풍경을 아름답게 해 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피침형이며 길이는 3-6cm, 폭은 6-12mm로 끝은 둔하고 기부는 둥글고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엽병은 없고 짙은 녹색이며 잎은 두껍고 윤채가 없다.
꽃 : 개화기는 4월로 2가화이며, 정생하고 화경이 없으며 황색이며 작은포는 술잔 모양이고 화피는 종같으며 4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대가 없다.
열매 : 둥글며 적색으로 익고, 직경은 6mm 정도로 끝에 화피열편과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줄기 : 까치집 모양으로 자라며, 녹색이 난다.
가지는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사이가 3-6cm이고 매끈하다.
뿌리 : 기생식물이다.
특징 : 열매가 붉은 점이 겨우살이와 다르다.
유사종 : 겨우살이: 열매는 공모양이며 익으면 연노란색의 반투명체가 된다.
꼬리겨우살이: 기생식물로서 엽록소가 있는 잎을 통해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뿌리를 숙주나무에 박고 물과 영양분을 섭취한다.
동백나무겨우살이: 잎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많은 마디가 있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8년 11월 27일 합천의 고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잎 (20181212) (0) | 2019.02.03 |
---|---|
물개구리밥 (20181212) (0) | 2019.02.01 |
겨우살이 (20181127) (0) | 2019.01.28 |
털별꽃아재비 (20181120) (0) | 2019.01.18 |
끈끈이대나물 (20181120) (0) | 201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