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10624

갯무 흰꽃 (20250515) 제주의 바닷가에서 본 흰꽃을 피운 갯무입니다. 국명 : 갯무 학명 :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 raphanistroides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 > Brassicaceae 십자화과 > Raphanus 무속 분포 : 경상북도(울릉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중해 생태 :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지중해 원산의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60cm, 듬성하게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를 포한 길이 5~20cm, 폭 2~5cm, 깃꼴로 갈라지며, 갈래잎은 2~7쌍, 양면에 털이 있다. .. 2025. 7. 9.
갯무 (20250515) 제주의 바닷가에서 본 갯무입니다. 국명 : 갯무 학명 :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 raphanistroides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 > Brassicaceae 십자화과 > Raphanus 무속 분포 : 경상북도(울릉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중해 생태 :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지중해 원산의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60cm, 듬성하게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를 포한 길이 5~20cm, 폭 2~5cm, 깃꼴로 갈라지며, 갈래잎은 2~7쌍,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줄기와 .. 2025. 7. 9.
차걸이란 (20250515) 제주 숲속의 나무에서 본 차걸이란입니다. 국명 : 차걸이란 학명 :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Oberonia 차걸이난초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제주도 비자림 등 제주도 내 5개 미만 장소에서 발견된다. 전 세계적으로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생태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150~800m의 교목이 많은 습윤한 숲속에서 다른 나무에 착생해 살며, 특히 비자림의 비자나무에 착생한다. 4~6월에 개화한다. 형태 : 줄기는 길이 1~4cm로 작은데, 여러 개체가 뭉쳐 포기를 이룬다. .. 2025. 7. 8.
금새우난초 (20250515) 제주의 숲속에서 본 금새우난초입니다. 국명 : 금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sieboldii Decne. ex Regel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alanthe 새우난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 울릉도, 안면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생태 : 숲속 땅 위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난과식물이다. 형태 : 땅속줄기는 염주 모양, 마디가 많으며 옆으로 뻗는다. 잎은 아래쪽에서 2~3장이 나며,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20~30cm, 폭 5~10cm이다. 잎에 주름이 많으며 잎자루는 길다. 꽃은 4~6월에 꽃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 2025. 7. 8.
석곡 (20250515) 제주 숲속의 나무에서 본 석곡입니다. 국명 : 석곡 학명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Dendrobium 석곡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제주도와 전라남도 해안 지역 및 섬 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조사를 통해 경상남도와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서 확인된 기록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생태 : 착생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200~600m에 위치한 숲속 계곡부 주변 바위나 나무에 붙어서 산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많은 뿌리를 낸다. .. 2025. 7. 7.
비자란 (20250515) 제주의 숲속에서 본 비자란입니다. 국명 : 비자란 학명 : Thrixspermum japonicum (Miq.) Rchb. f.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Thrixspermum 비자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분포 : 국내에는 과거 한라산을 비롯하여 제주도 일대에 분포하였고, 2012~2013년에 가장 큰 개체군이 소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확인되는 극히 적은 개체들도 매년 감소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비자나무를 비롯한 상록수 숲에 산다. 해발 250~350m 남사면 계곡부 숲속 노거.. 2025. 7. 7.
꽃갈퀴덩굴 (20250515) 제주의 풀밭에서 본 꽃갈퀴덩굴입니다. 국명 : 꽃갈퀴덩굴 학명 : Sherardia arvensis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꼭두선이목 > Rubiaceae 꼭두선이과 > Sherardia 꽃갈퀴덩굴속 분포 : 서울(난지도), 제주도 유럽 생태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형태 : 뿌리는 붉은 갈색이다. 줄기는 네모지며 아래쪽부터 많이 갈라져 땅 위를 덮고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다. 잎은 4~7개가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1.0~1.5cm, 양 끝이 뾰족하다. 꽃은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여러 개가.. 2025. 7. 5.
큰개구리발톱 (20250515) 제주의 숲속에서 본 큰개구리발톱입니다. 국명 : 큰개구리발톱 학명 : Semiaquilegia quelpaertensis D. C. Son & K. Lee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Semiaquilegia 개구리발톱속 형태 : 잎은 개구리발톱보다 덜 갈라지고 가운데에 흰색 줄무늬가 보이기도 한다. 꽃이 8-10mm로 개구리발톱보다 큰 편이다. 수술이 16-22개로 개구리발톱보다 많다. 종자 표면의 주름이 개구리발톱에 비해 현저히 나타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5년 5월 15일 제주의 숲속에서 2025. 7. 3.
큰점나도나물 (20250515) 제주의 숲속에서 본 큰점나도나물입니다. 국명 : 큰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fischerianum Se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Cerastium 점나도나물속 분포 : 함경북도(서수라), 제주도 러시아(캄차카), 일본; 북아메리카(알래스카)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60cm, 밑에서 모여나며, 비스듬히 자라고 윗부분은 곧추 자라며, 퍼진 털과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없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cm, 폭 3~20mm, 끝은 둔하며, ..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