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북456

단풍나무 (20230509) 경북 영천시의 높은 산에서 본 단풍나무입니다. 국명 : 단풍나무 학명 : Acer palmatum Thunb.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Sapindales 무환자나무목 > Aceraceae 단풍나무과 > Acer 단풍나무속 분포 :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일본 생태 :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산지의 혼합림 가장자리 또는 숲 안에서 서식하며 습기가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형태 : 높이 10m에 달하며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빨갛다. 꽃은 암적색으로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 2023. 6. 5.
흰꽃광대나물과 큰광대노린재 (20230422) 흰꽃광대나물에 큰광대노린재가 놀고 있습니다.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에서 보았습니다. 국명 : 흰꽃광대나물 학명 : Lagopsis supina (Stephan ex Willd.) Ikonn.-Gal. ex Knorrg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gopsis 흰꽃광대나물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cm 정도, 네모지고, 밑에서부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으로 보통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깊은 톱니 모양이다... 2023. 5. 16.
흰꽃광대나물 (20230422)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에서 본 흰꽃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흰꽃광대나물 학명 : Lagopsis supina (Stephan ex Willd.) Ikonn.-Gal. ex Knorrg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gopsis 흰꽃광대나물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6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cm 정도, 네모지고, 밑에서부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으로 보통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깊은 톱니 모양이다.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줄기.. 2023. 5. 16.
푼지나무 (20230422)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 울타리에서 본 푼지나무입니다. 국명 : 푼지나무 학명 : Celastrus flagellaris Rup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Celastrales 노박덩굴목 >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 Celastrus 노박덩굴속 분포 : 전국 러시아(아무르),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덩굴성 낙엽 떨기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형태 : 공중뿌리는 바위나 나무에 붙어 기어오르고 땅위를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가지는 적갈색이다. 턱잎은 작고 가시 모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5~8cm, 폭 2~4cm, 밑은 편평하거나 둥근 모양이고,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이다... 2023. 5. 16.
제비꽃들 - 보현산에서 본 (20230416) 4월 16일 나도바람꽃을 보러 간 보현산에서 본 제비꽃들입니다. 고깔제비꽃 우리나라의 제비꽃속 식물들 중에 잎이 날 때 고깔처럼 말려서 나므로 구분된다. 노랑제비꽃 제비꽃속 식물 중에서 노란색 꽃을 피며, 줄기에서 꽃대가 나와 다른 종류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단풍제비꽃 잎 모양은 태백제비꽃과 남산제비꽃의 중간 모양이므로 구분된다. 태백제비꽃 잎몸은 다소 긴 삼각상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둔한 톱니가 다소 깊게 파인다.. 2023. 5. 14.
천마괭이눈 (20230416) 경북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천마괭이눈입니다. 국명 : 천마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남부, 중국 만주 남부, 중국 북부 및 중부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 계곡 중상류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꽃줄기의 밑부분에 달린 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무성지가 1-2쌍 발달한다. 무성지는 자줏빛이 돌며, 위로 갈수록 마디가 짧다. 무성지의 잎은 위로 갈수록 크다. 잎 앞면은 흰색 털이 조금 나며, 뒷면은 털이 거의 없다.. 2023. 5. 12.
선괭이눈 (20230416) 경북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선괭이눈입니다. 국명 : 선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 Le?v.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북동부,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습기가 많은 숲이나 산지의 계곡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없으나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의 기부 안쪽에 긴 털이 밀생한다. 수정 후 꽃이 피지 않는 무성지가 발달하며 그 끝에 뿌리를 내려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진 잎을 형성한다. 땅위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은 길이.. 2023. 5. 12.
태백개별꽃 (20230416) 경북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태백개별꽃입니다. 큰개별꽃과 비교하여 꽃자루가 잎보다 두배 쯤 길고 열매가 열리면 고개를 숙이며 암술이 3-5갈래이다. 국명 : 큰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Pseudostellaria 개별꽃속 분포 : 전국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1~4개가 함께 달리는데, 개별꽃처럼 굵어지지 않는다. 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겉에 털이 2줄로 난다. 잎은 진한 녹색이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3~4cm, 폭 0.5~2cm이다. 꽃은 줄기 끝.. 2023. 5. 12.
왜미나리아재비 겹꽃 (20230416) 경북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겹꽃을 피운 왜미나리아재비입니다. 왜미나리아재비는 꽃잎이 5개인데 꽃잎이 겹으로 핀 왜미나리아재비도 보았습니다. 국명 : 왜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franchetii H. Boissieu 국명이명 : 실젓가락나물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us 미나리아재비속 분포 : 강원도 이북, 충청남도(계룡산) 러시아(사할린, 아무르),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높은 산지의 습기가 많은 숲속에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털이 조금 있고 길이 10~25cm이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근 심장 모양으로 길이 2~2.5cm, 폭 2.5cm이.. 2023.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