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범의귀과45

선괭이눈 (20220428)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선괭이눈입니다. 나무 둥지의 옹이가 빠진 곳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선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 Le?v.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북동부,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습기가 많은 숲이나 산지의 계곡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없으나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의 기부 안쪽에 긴 털이 밀생한다. 수정 후 꽃이 피지 않는 무성지가 발달하며 그 끝에 뿌리를 내려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진 잎을 형성한다. 땅위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잎은 길이 5.2cm, 폭 3.7cm이며, 잎몸의 밑부분.. 2022. 6. 8.
돌부채손 (20220403) 충남의 수목원에서 본 돌부채손입니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자생한다는 돌부채손인데 만나서 반가왔습니다. 돌단풍속 식물이라 돌단풍과 비슷한 모습인데 잎이 갈라지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국명 : 돌부채손 학명 : Mukdenia acanthifoli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돌단풍속 분포 : 평안남도 / 중국(동북부 동남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많은 비늘잎으로 덮여 있다. 뿌리잎은 밑에서 2~5개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10~20cm, 털이 없고 매끈하다. 잎몸은 난상 원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7.0~15cm, 폭 9.0~20.0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자주색, 윤이 .. 2022. 5. 5.
돌단풍 (20220401) 대구수목원에서 본 돌단풍입니다. 바위에 조성하여 보기좋은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돌단풍 학명 : Mukdenia rossii (Oliv.) Koidz.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돌단풍속 분포 :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중국 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굵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5~7갈래로 갈라진 단풍잎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다. 꽃은 뿌리에서 난 높이 30~50cm의 꽃줄기에 원추형 취산꽃차례로 피며, 연한 붉은색을 띤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5~6장이며, 긴 난형, 흰색,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5~6장이며, 흰색.. 2022. 4. 24.
흰털괭이눈 (20220327) 통영의 야산에서 본 흰털괭이눈입니다. 얼레지를 보러 간 산에서 무리를 지어서 자라는 흰털괭이눈을 보았습니다. 꽃대에 드문드문 긴 털을 달고서 노란 꽃을 피운 모습이 멋집니다. 국명 : 흰털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습지, 계곡 주변 및 사면의 돌이 많은 축축한 곳에 무리 지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0cm 정도로 자라는데, 밑에서부터 여러 개로 갈라지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없다. 줄기 하부에는 갈색 털, 상부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둥글거나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2022. 4. 19.
흰털괭이눈 (20220315) 경남 고성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흰털괭이눈입니다. 키는 손가락 한 마디도 자라지 않았는데 꽃대에 털을 틈성듬성 달고 노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사각의 꽃잎 속에 노란 꽃술이 금이빨처럼 자리하고 있습니다. 국명 : 흰털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습지, 계곡 주변 및 사면의 돌이 많은 축축한 곳에 무리 지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0cm 정도로 자라는데, 밑에서부터 여러 개로 갈라지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없다. 줄기 하부에는 갈색 털, 상부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둥글거.. 2022. 4. 3.
애기괭이눈 (20220311) 전남의 야산 계곡에서 본 애기괭이눈입니다. 계곡의 바위에 붙어서 애기괭이눈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물이 차가왔을텐데도 꽃을 피운지가 조금 되었는지 꽃이 지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노란색 꽃에 노란 꽃술이라 초점을 제대로 맞추기가 어려워 꽃이 제대로 담겨지지가 않았습니다. 국명 : 애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인 무성지가 수정 후에 지면을 기어 뻗어가며 그 끝에서 뿌리가 내려 로제트형의 잎을 .. 2022. 3. 29.
물참대 (20210525) 강원도 영월의 야산에서 본 물참대입니다. 식물명 : 물참대(댕강말발도리) 학명 : Deutzia glabrata Kom.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말발도리속 분포 : 중국;/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대부분 백두대간에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수형:역삼각형 생육환경 : 산골짝 숲 속, 숲 가장자리 및 그늘이 지고 습기가 있는 계곡이나 전석지 등에서 생육하고 고광나무, 귀롱나무, 벚나무와 혼생한다. 크기 : 높이 2m. 잎 : 잎은 어긋나기로 길이 4 ~ 9cm , 폭 1 ~ 3(4)cm로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거나 3~4개로 갈라진 성모가 산생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 (매화 말발도리나무는 잎의 양면에.. 2022. 2. 20.
꼬리말발도리 (20210501) 경남 양산의 야산에서 본 꼬리말발도리입니다. 식물명 : 꼬리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niculata Nakai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말발도리속 분포 : 한국(경상북도 영천시, 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양산시; 대구시 동구; 울산시 울주군) 형태 : 낙엽 관목. 생육환경 : 산골짜기의 바위틈에서 잘 자란다. 크기 : 높이 2m까지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어지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0cm로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3-4갈래의 성모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햇가지 끝에 4-5월에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고(말발도리나무, 물참대는 편평꽃차례임).. 2022. 2. 16.
매화헐떡이풀 (20210427) 2021년 4월에 수목원에서 본 매화헐떡이풀입니다. 울릉도에서 볼 수 있는 헐떡이풀과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매화헐떡이풀 학명 : Tiarella cordifolia v.collina 'Oakleaf' 분류 : 쌍떡잎식물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일본 형태 : 도입종으로 범위귀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골짜기 습지 그늘에 자란다. 크기 : 꽃줄기 높이 15~30cm정도 잎 : 잎은 심장상 원형이고 단풍잎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지며 잎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엽맥의 중앙부에는 암갈색의 무늬가 약간 있다. 잎자루가 길게 달린다. 꽃 : 꽃은 4~6월에 흰색 또는 연붉은 색으로 긴 꽃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려 핀다. 꽃대는 포기 중심에서..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