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범꼬리24

갯지치 외 - 흡수굴 가는 길의 숲속에서 (20230708) 흡수굴을 가다가 가이드가 꽃이 많이 있다는 숲으로 안내를 하였다. 흰색 대롱이 모여 달린 것 같은 꽃을 보았다. Mertensia davurica var. ochroleuca(갯지치)라고 소개를 하는 것을 찾았다. 장통번자초라고도 하였다. 숲으로 들어가는 초입에 왜지치가 보였다. 노란색 꽃을 피운 마타리가 반겨주었다. 금마타리롸 비슷한데 잎이 다르다. Patrinia sibirica (L.) Juss.로 몽골 돌마타리라고 하였다. 쇠채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다. 키가 큰 씨범꼬리를 보았다. 크기와 모습으로는 가는범꼬리라고 해야할 것 같다. 벼룩이울타리도 보였다. 꽃잎이 뒤로 젖혀진 작으면서도 날렵한 꽃을 보았다. Anticlea sibirica (백합과 나도여로속)의 식물이다. 색이 고운 쥐손이풀류도 보았.. 2023. 8. 10.
껄껄이풀 외 - 서파에서 (20190725) 서파에 오르면서 민들레와 비슷한 식물을 보았습니다. 껄껄이풀입니다. 나도개미자리가 바위구절초와 비로용담을 옆에 두고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로용담은 풀 사이에 숨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부전바디도 길가 언덕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구름국화도 매발톱과 어울려 꽃을 .. 2020. 1. 19.
매발톱 (20190725) 백두산 서파를 오르면서 만난 매발톱입니다. 풀밭에서 보라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매발톱과 씨범꼬리도 물가에 피었습니다. 구름국화와 매발톱도 같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2019년 7월 25일 백두산 서파에서 2020. 1. 17.
두메양귀비 외 (20190724) 두메양귀비는 비바람에 꽃잎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주색 꽃을 피운 두메자운도 비를 맞고 있습니다. 씨범꼬리와 나도개미자리도 하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호범꼬리와 씨범꼬리도 서로 어울려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주변에는 두메양귀비와 구름국화도 함께 자리하.. 2020. 1. 9.
구름송이풀 (20190724) 구름송이풀이 무리로 피어서 반깁니다. 구름송이풀이 두메양귀비와 씨범꼬리와 어울리고 있습니다. 어두웠을 때 보았던 구름송이풀이 밝으니 색이 더 곱습니다. 구름송이풀과 황기가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19년 7월 24일 백두산 북파에서 2020. 1. 8.
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L.) Gray 몽골의 초원에서 본 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L.) Gray 입니다. 식물명 : 씨범꼬리 학명 : Bistorta vivipara (L.) Gray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범꼬리속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고산의 양지에 난다. 크기 : 키 10-30cm이다.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2019. 11. 19.
검은낭아초 외 - 아르항가이 온천의 습지에서 (20190701) 풀밭을 돌아보고는 습지로 갔습니다. 습지에서 검은낭아초를 만났습니다. 습지에서 구름송이풀 흰꽃을 만났습니다. 붉은 꽃을 피우는 구름송이풀이 흰색으로 피어난 모습은 무척 청초한 모습이었습니다. 습지에서 나도씨눈난초도 찾았습니다. 연두색의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습지에.. 2019. 10. 11.
달구지풀 외 - 아르항가이 온천의 야산에서 (20190701) 아르항가이 온천 지구에 6시경에 도착하였습니다. 온천이 솟는 곳 주변에 꽃 탐사를 갔습니다. 산자락에 풀이 발 디딜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달구지풀이 풀 사이에서 붉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도라지를 닮은 꽃이 풀 사이에서 고개를 내밉니다. 가는잎잔대라고 하였습니다. 산비탈이 .. 2019. 10. 11.
씨범꼬리 외 - 차강호 안쪽 습지에서 (20190630) 산에서 내려와서 풀밭으로 들어갔습니다. 범꼬리가 키가 작고 꽃차례도 섬술하였습니다. 씨범꼬리로 보입니다. 키가 작은 버들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진퍼리버들입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꽃을 담아본다고 애를 썼습니다. 산파도 보았습니다. 풀밭에 고산봄맞이가 고운 색으로 꽃.. 2019.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