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산562

놋젓가락나물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놋젓가락나물입니다. 투구꽃과 같은 종류인데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놋젓가락나물 학명 : Aconitum ciliare DC.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서울 북한산, 경북, 전남, 전북, 충남, 강원, 경기,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록 숲속에 난다. 크기 : 길이 2m 잎 : 잎은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3-5갈래로 전열(全裂)되며 열편은 능형(菱形)이고 다시 갈라진 피침형의 최종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꽃의 수가 적고 꽃대축과 꽃자루에 잔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같고 5개.. 2020. 11. 15.
궁궁이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궁궁이입니다. 식물명 : 궁궁이 학명 : Angelica polymorpha Maxim.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당귀속 분포 :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경기,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나 골짜기의 냇가에 난다. 크기 : 높이는 0.8-1.5m이다.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20-30cm로서 삼각형 또는 삼각상 넓은 달걀모양이며 대부분 털이 없고 3개씩 3-4회 갈라진다.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6cm로서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며 엽병은 백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백색으로 8~.. 2020. 11. 15.
괴불나무 열매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괴불나무 열매입니다. 식물명 : 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maackii (Rupr.) Maxim.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분포 : 일본, 중국; /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등 백두대간.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숲속이나 음지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다. 내건성은 약하고 맹아력과 내조성, 내공해성이 강하며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크기 : 높이 5m.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의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10cm × 2.0 ~ 3.5cm이며 톱니가 없고 잎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에 샘털이 있다. 꽃 : 꽃은 5 ~ .. 2020. 11. 15.
백부자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백부자입니다. 긴 줄기 끝에 투구 모양의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백부자(노랑돌쩌귀) 학명 : Aconitum coreanum (H.Lev.) Rapaics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한국(함경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경기도; 강원도 정선군, 평창군; 충청북도 제천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생육지는 지형적으로 산복부나 능선지역이며, 토양은 약간 건조한 곳이다. 크기 : 높이가 1m에 이른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 2020. 11. 13.
솔체꽃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솔체꽃입니다. 절개지의 돌틈에서 자라면서 늘어진 줄기 끝에 고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솔체꽃 학명 :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분류 : 산토끼꽃목 > 산토끼꽃과 > 체꽃속 분포 : 경북, 강원 이북에 나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두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 크기 : 높이 50~90cm 잎 : 근엽은 엽병이 길며 피침형으로 결각상 톱니가 있고 꽃필 때는 없어진다. 경엽은 마주나기하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거나 전열하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큰 톱니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9cm, 나비 3cm이고 포는 선형이다. 꽃 :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 2020. 11. 13.
삽주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삽주입니다. 백부자가 핀 옆에 삽주도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삽주 학명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삽주속 분포 : 전국 각지와 중국,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태 : 산야(山野)에 난다. 여름에는 다소 서늘한 반그늘진 수목 밑에 많다. 크기 : 높이 30-100cm이다.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잎은 긴 타원형,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8-11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에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짧은 바늘같은 가시가 있고 3-5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3-8cm이다.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고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2020. 11. 13.
투구꽃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투구꽃입니다. 진한 보라색 꽃을 피운 모습이 고왔습니다. 식물명 :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심산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m에 달한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 2020. 11. 12.
흰진범 (20200909) 함안의 야산에서 본 흰진범입니다. 식물명 : 흰진범 학명 :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길이 1m 잎 : 근생엽과 줄기잎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밑부분의 잎은 3-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끝이 뾰족한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꽃 : 꽃은 연한 황백색이며 8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가 나오고 꽃차례와 꽃자루에 털이 있으며 포는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꽃잎.. 2020. 11. 3.
좁은잎배풍등 (20200909) 함안의 야산 계곡에서 본 좁은잎배풍등입니다. 식물명 : 좁은잎배풍등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분류 : 통화식물목 > 가지과 > 가지속 분포 : 중부이남 형태 :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길게 벋고, 덩굴지며, 거의 털이 없다. 잎 : 잎은 마주나며, 난상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4-8cm, 폭 1-3.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때로 밑부분이 둔하게 1-2쌍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 가장자리와 잎맥에 드물게 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성기게 달린다. 화관은 연한 보라색, 길이 6-7mm, 5갈래로 깊이 갈라지며, 밖으로 휜다. 열매.. 2020.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