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주꽃방망이23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숲속에서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을 보았습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도 있습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쥐손이풀도 보았습니다. 푸른색을 띄는 쥐손이풀속(Geranium pseudosibiricum J. Mayer) 식물입니다.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도 보았습니다.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꽃잎이 젖혀지는 것이 나도여로와 다른 것 같았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보라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원지과로 보입니다.      인가목(Rosa acicularis)도 보았습니다.  송이풀(Pedicularis res.. 2024. 10. 23.
캄파눌라(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 외 - 쳉헤르온천의 숙소 뒷산에서(20240626) 초롱꽃과의 식물을 보았습니다. 물방울을 매단 모습이 고왔습니다. 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로 캄파눌라의 한 종류입니다.   또다른 초롱꽃과 식물도 보았습니다. 자주꽃방방이(Campanula glomerata L.)로 보입니다.    오이풀도 보았습니다.왜지치 비슷한 꽃들 보았습니다. Myosotis(개꽃마리속) 식물입니다. 설령쥐오줌풀도 보았습니다.산파로 보이는 식물도 보았습니다.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로 불리운다고 하였습니다.   꽃봉오리를 총총이 달고 있는 식물도 보았습니다. 애기수영으로 보입니다.  씨범꼬리도 보입니다.  자잘한 흰꽃을 피운 꼭두서니과 식물도 보았습니다. 긴잎갈퀴(Galium boreale?L.)로 보입니다. 2024. 8. 27.
돌꽃 외 - 장백폭포에서 (20230727) 장백폭포 전망대 아래에서 돌꽃을 보았습니다. 물에는 택사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장백폭포를 보고 내려오면서 애기금매화를 보았습니다. 눈개승마도 보았습니다. 계곡 옆의 풀밭에 곤달비와 꿩의다리랑 여러 가지 꽃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닭의덩굴도 보입니다. 구름국화가 흰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두메분취가 꽃봉오리를 보여주었습니다. 자주꽃방망이도 많이 보였습니다. 두메양귀비도 보았습니다. 주차장에서 소천지로 가려고 계곡을 지나는데 곤달비가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분홍바늘꽃도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27일 백두산 장백폭포에서 2023. 10. 15.
곤달비 외 - 왕지에서 (20230726) 백두산 왕지에 갔습니다. 왕지에 들어서니 넓은 풀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곰취와 비슷한 식물이 많이 보입니다. 곤달비입니다. 큰 키에 꽃차례도 풍성하였습니다. 국명 : 곤달비 학명 :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국명이명 : 곰취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Ligularia 곰취속 분포 : 북부지방, 전라남도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털이 없다. 뿌리잎은 2~3개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20~75cm다. 잎몸은.. 2023. 10. 5.
산속단 외 - 백두산 고산화원에서 (20230726) 소나기가 내려서 서파에서 내려왔습니다. 차를 타고 내려오니 소나기도 멎었습니다. 고산화원에서 차를 세우고 주변에 꽃을 찾아보았습니다. 산속단이 즐비하게 자리하고 있는데 꽃은 진 상태였습니다. 그 중에 꽃을 피우고 있는 산속단을 찾았습니다. 국명 : 산속단 학명 : Phlomis koraiensis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Phlomis 속단속 분포 : 백두산 중국(장백산)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핀다. 형태 : 뿌리는 방추형으로 굵어지고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네모지고 높이 40~60cm, 아래를 향한 가는 털이 있고 마디에는 빽빽하게 난다. 뿌리잎 잎자루는 8.0~11... 2023. 10. 3.
날개하늘나리 외 - 선봉령에서 (20230724) 계곡에 만들어진 나무데크를 따라 내려가다가 주어진 시간이 되어서 돌아서는데 하늘을 올려다보고 꽃을 피운 나리가 보였습니다. 가까이 가서 보니 줄기네 날개가 선연히 보이는 날개하늘나리였습니다. 내려오면서 보았던 가는오이풀이 개울 건너편으로 올라가는 길에도 보였습니다. 가는오이풀이 무리로 자라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산형과 식물도 보였습니다. 가까이 가서 살피지 않아서 제대로 알지는 못하지만 어수리나 궁궁이 비슷한 식물로 보였습니다. 가는돌쩌귀도 꽃을 풍성하게 피우고 있습니다. 꽃에는 벌이 찾아와서 꽃속을 드나들며 놀고 있었습니다. 길가에 방패꽃이 말라가고 있었습니다. 열매는 터져서 씨를 다 떨어뜨린 모습이었습니다. 개울가에는 버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버들 뒤에 가는오이풀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자주꽃방망.. 2023. 9. 15.
자주꽃방망이 외 - 선봉령에서 1(20230724) 7월 24일부터 29일가지 5박 6일간의 백두산 꽃 탐사를 갔습니다. 첫날인 24일에 연지에 도착하여 선봉령으로 갔습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로 내리니 바로 옆에 자주꽃방망이가 피어있었습니다. 자주색꽃을 피우는 자주꽃방망이가 핀 옆에 흰색 꽃을 피운 자주꽃방망이도 있었습니다. 개울가에 좀양지꽃도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잎이 박쥐 모습인 박쥐나물도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도로를 건너 계곡을 찾아 내려갔습니다. 계곡에는 물이 제법 많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물이 흐르는 계곡을 따라 난 탐방로를 이용하여 주변을 살피며 가다가 가는돌쩌귀를 만났습니다. 나무에 까만 열매가 달렸습니다. 개들쭉나무가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잔대가 꽃을 풍성하게 피우고 있습니다. 꽃을 많이도 달았습니다. 도로 아래쪽의 개울가.. 2023. 9. 12.
초종용 외 - 테를지국립공원의 엉커츠산에서 (20230712) 테를지국립공원의 산을 올라갔다. 풀밭을 돌아다니다가 초종용을 만났다. 풀 사이에서 꽃봉오리를 제대로 분화하지도 않고 아랫부분에만 꽃을 피운 모습으로 갓 올라오는 중이었다. 경사가 완만한 풀밭을 주로 돌아보았다. 큰솔나리가 먼저 반겨주었다. 큰솔나리 옆에 개형개도 나도 봐라는 듯이 자리하고 있다. 점나도나물처럼 보이는 별꽃속 식물도 다발로 꽃을 피우고 자리하고 있다. 자주꽃방망이도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다. 흰색으로 꽃을 피운 꼬리풀을 보았다. 은꼬리풀(Veronica incana L.)이라고 불리우는 꼬리풀속 식물이다. 분홍색 꽃을 피운 꼬리풀도 만났다. 청색으로 꽃을 피운 꼬리풀도 있다. 구름체꽃도 피었다. 노란색 꽃을 피운 냉이속 식물도 만났다. 노란장대와 비슷하다. 석잠풀인데 줄기와 잎에 털이 많다... 2023. 9. 11.
두메부추 외 - 테를지국립공원에서 (20230711) 에르데넷에서 기차를 타고 밤을 새워 달려서 울란바토르의 역에 7시에 도착을 하였다 9시에 아침식사를 하고 테를지국립공원으로 갔다. 먼저 찾은 곳은 아라야발사원이었다 입구를 들어서니 풀밭에 꽃들이 많았다. 두메부추로 보이는 부추속 식물을 먼저 보았다. 구슬골무꽃과 비슷한 골무속 식물도 보았다. 노랑색으로 꽃을 피운 황기속도 고왔다. 속단속 식물도 보인다. 자주꽃방망이도 꽃을 피우고 있다. 풀밭에 큰솔나리도 피었다. 애기원추리도 노란색 꽃을 피웠다. 송이풀속 식물도 보인다. 마타리속 식물도 꽃을 피웠다. 구름국화도 피었다. 절굿대로 보이는 식물도 보았다. 꽃이 진 피뿌리풀에 나비가 사랑놀음을 하고 있다. 실쑥도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었다. 피뿌리풀이 달구지풀과 같이 피었다. 오랑캐장구채도 보았다. 꼬리풀속도.. 2023.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