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437

구상나무 (20200708) 제주도 수목을 관리하는 곳에서 본 구상나무입니다. 열매를 가득 매달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구상나무 학명 : Abies koreana E.H.Wilson 분류 : 소나무목 > 소나무과 > 전나무속 분포 : 한국(덕유산, 지리산, 한라산 ) 형태 : 상록침엽교목, 초기에는 원뿔모양이나 큰키나무가 되면 원정형으로 변화함. 생육환경 : 표고 500-2,000m에 자생하며 토양중 습기가 많고 비옥한 땅에서 잘 자란다. 크기 : 수고:18m, 수관폭 7-8m로 자란다. 잎 : 가지나 줄기에 돌려나기로 돋아나며 잎끝이 2갈래로 갈라져 있다. 가지의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고 길이 9-14mm, 폭 2.1-2.4mm이며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으로 잎 끝이 오목하다. 일년생가지의 잎은 길이 18-20mm, 폭 .. 2020. 9. 28.
나도풍란 (20200708) 제주도 한라산 자락의 작은 사찰에서 본 나도풍란입니다. 나무에 붙어서 자라면서 곱게 꽃을 피운 모습이 신비스러울 정도였습니다. 고운 모습의 나도풍란을 보면서 관리를 하신 분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식물명 : 나도풍란 학명 : Sedirea japonica (Rchb.f.) Garay & Sweet 분류 : 난초과 나도풍란속 분포 : 일본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형태 : 상록 다년초로 착생식물이며,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습윤한 암석이나 나무껍질면에서 자란다. 상록활엽수의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크기 : 길이는 7~15cm, 폭은 1.5~2cm 잎 : 잎은 3-5개가 2줄로 달려 마주 자라며 육질이며 두껍고 긴 타원형이고 길이 8~15cm, 폭 1.5~2.5cm로서 표면의 주맥이 들어가며 끝은.. 2020. 9. 27.
실꽃풀 (20200708) 제주도 한라산의 작은 사찰에서 본 실꽃풀입니다. 긴 줄기 끝에 흰색 꽃을 피운 자태가 청초한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실꽃풀 학명 : Chionographis japonica (Willd.) Maxim.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실꽃풀속 분포 : 일본 / 한국(제주도) 형태 : 반상록성 또는 상록성의 다년초이다. 생육환경 : 습윤한 계곡내의 낙엽수림하부의 바위 또는 나무들 틈에 착생하여 자란다. 크기 : 높이가 30cm이다. 잎 : 잎은 근생엽과 줄기잎이 있으며 밑부분에서는 모여나기하고 근생엽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다소 물결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8cm, 폭 1.5-3cm로서 엽병의 길이가 불규칙하고 줄기잎은 선상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 2020. 9. 27.
흑난초 녹화 (20200708) 제주도 오름의 숲속에서 본 녹색 꽃을 피운 흑난초입니다. 시기가 늦었을까봐 걱정을 하면서 찾아간 흑난초 자생지였는데 다행히 꽃을 피운 모습을 만날 수 있어 많이 반가왔습니다. 숲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흑난초라 불을 밝히지 않으니 카메라가 초점을 제대로 잡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녹색 꽃을 곱게 꽃을 피운 흑난초 녹화를 만나서 너무 기뻤습니다. 식물명 : 흑난초 학명 : Liparis nervosa (Thunb.) Lindl. 분류 : 난초과 나리난초속 분포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완도군, 진도군;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록 숲 속에 자란다. 크기 : 높이는 20~31cm이다. 잎 : 잎은 2~3장으로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2cm, 너비 3~5.5cm로 끝.. 2020. 9. 25.
흑난초 (20200708) 제주도 오름의 숲속에서 본 흑난초입니다. 시기가 늦었을까봐 걱정을 하면서 찾아간 흑난초 자생지였는데 다행히 꽃을 피운 모습을 만날 수 있어 많이 반가왔습니다. 숲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흑난초라 불을 밝히지 않으니 카메라가 초점을 제대로 잡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곱게 꽃을 피운 흑난초를 만나서 너무 기뻤습니다. 식물명 : 흑난초 학명 : Liparis nervosa (Thunb.) Lindl. 분류 : 난초과 나리난초속 분포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완도군, 진도군;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록 숲 속에 자란다. 크기 : 높이는 20~31cm이다. 잎 : 잎은 2~3장으로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2cm, 너비 3~5.5cm로 끝이 뾰족하고 3~7맥이 있으며 엽.. 2020. 9. 25.
자금우 (20200708) 제주도 오름의 숲속에서 본 자금우입니다. 식물명 : 자금우 학명 :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분류 : 장미목 > 자금우과 > 자금우속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 충청남도 및 경기도 해안.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남부지방에서는 비교적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서도 간혹 자란다. 크기 : 높이 15 ~ 20cm. 잎 : 잎은 돌려나기 또는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고 첨두이며 길이와 폭이 각 6 ~ 13cm × 1.5 ~ 3.5cm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암수한꽃으로 6월에 개화하며, 우상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 또는 포의 겨드랑이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샘털이 있으며, 꽃대 길이는.. 2020. 9. 25.
문주란 (20200708) 제주도 해변에서 본 문주란입니다. 제주에서 맞은 아침이라 날은 흐렸지만 바닷가를 나갔습니다. 광치기해변에 사람들이 제법 많이 나와서 아침을 맞고 있었습니다. 하늘에는 먹구름이 가득하여 금방이라도 비를 뿌릴 것 같았습니다. 바닷가를 나가자 문주란이 꽃을 활짝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식물명 : 문주란 학명 :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er 분류 : 백합목 > 수선화과 > 문주란속 분포 : 한국(제주도 제주시) 형태 : 상록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해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30~50cm, 지름 3~7cm이며 꽃대는 높이 50-80cm, 지름 1.8cm이다. 잎 : 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털이 없고 육질이며 광택이 나고 윗부분은 길이 30-60.. 2020. 9. 24.
광치기 해변 (20200708) 제주 광치기해변에 나갔습니다. 잔뜩 흐린 하늘에 안개가 성산일출봉을 덮고 있었습니다. 바닷가 바위에는 녹색 해초가 아침을 대신하여 주었습니다. 2020년 7월 8일 제주 바닷가에서 2020. 9. 24.
풍란 (20200707) 제주도 민속촌에서 본 풍란입니다. 거대한 나무 둥지에 붙어서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이 경이롭가까지 하였습니다. 흐린 날에다가 해질 무렵이라 고운 모습을 제대로 담지를 못해 안타까왔습니다. 식물명 : 풍란 학명 : Neofinetia falcata (Thunb.) Hu 분류 : 난초과 풍란속 분포 : 남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 생육환경 : 남부지방 바위 겉이나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크기 : 길이는 3~8cm 폭은 6~8cm 잎 : 잎은 짧은 마디에 2줄로 달리며 어긋나기하고 서로 마주 안으며 넓은 선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6-8mm로서 뒤로 활처럼 굽으며 밑에 환절이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순백색이나 오래 지나면 황색으로 변한다. 꽃대는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2020.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