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남성과15 천남성 (20210421) 2021년 4월에 제주도 한라산의 숲속에서 본 천남성입니다. 키가 작아서 귀여운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천남성속 분포 :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지의 습한 응달 크기 : 높이 15~30cm이다. 잎 :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꽃차례로 달린다. 불염포는 판통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차례의 부속체는 곤.. 2022. 2. 4. 애기앉은부채 (20210827) 울산의 야산 계곡의 숲속에서 본 애기앉은부채입니다. 비가 온 뒤에 찾았더니 물이 흐르면서 그랬는지 상한 개체가 더러 보였습니다. 식물명 : 애기앉은부채 학명 :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앉은부채속 분포 :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에 자생한다.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대개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거나 심장저 비슷하고 길이 10-20cm, 나비 7-12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전에 싹이 돋아 배추잎처럼 큰 잎으로 자랐다가 6월이 되면 지상부가 사라지고 휴면에 들어간.. 2021. 10. 7. 대반하 (20210521) 거제도 야산에서 본 대반하입니다. 식물명 : 대반하 학명 :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반하속 분포 :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서 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살눈이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10-20㎝이다. 꽃 : 꽃대는 20-50㎝,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으로판연은 달걀모양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1년 5월 21일 경남 거제도 야산에서 2021. 6. 28. 노랑앉은부채 (20210317) 강원도 야산 계곡에서 만난 노란색 앉은부채입니다. 남쪽에서는 만나기가 쉽지 않아서 5시간을 달려가서 만났습니다. 꽃처럼 보이는 노란색 불염포와 불염포 안에 꽃차례도 노란색인 것이 앉은부채와 비교가 되어 노랑앉은부채라고 불리웁니다. 식물명 : 앉은부채 학명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앉은부채속 분포 :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골짝 그늘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와 반그늘 또는 그늘에서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크기 : 꽃대는 길이 10-20cm. 잎 :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넓은 원심형이고 길이 30~40cm, 폭 35~42c.. 2021. 4. 7. 앉은부채 (20210313) 강원도 춘천의 야산 계곡에서 만난 앉은부채입니다. 남쪽에서는 만나기가 쉽지 않아서 5시간을 달려가서 만났습니다. 먼길을 달려갔지만 꽃이 제대로 피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식물명 : 앉은부채 학명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앉은부채속 분포 :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골짝 그늘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와 반그늘 또는 그늘에서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크기 : 꽃대는 길이 10-20cm. 잎 :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넓은 원심형이고 길이 30~40cm, 폭 35~42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고 엽병은 길이 5.. 2021. 3. 28. 창포 (20200709) 제주도 한라생태숲의 연못 옆 습지에서 본 창포입니다. 이삭꽃차례의 꽃대에 꽃은 보이지 않고 씨를 영글고 있는 모습입니다. 식물명 : 창포 학명 : Acorus calamus L.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창포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 미국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드는 30cm 미만의 얕은 물속이나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 크기 : 잎의 길이가 70cm 정도이다.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나기하며 길이 70cm, 나비 1-2cm로서 선형이고 나란히 맥이 있으며 주맥이 뚜렷하고 대검같으나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 꽃 : 꽃대는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앙부에 5cm 정도의 이삭꽃차례가 6-7월경에 비스듬히 옆으로.. 2020. 10.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