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높은 산에서 본 패랭이우산이끼입니다.
남쪽에서 만난 패랭이우산이끼는 포자를 볼 수 없었는데
이곳에 패랭이우산이끼는 포자도 마르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패랭이우산이끼
학명 : Conocephalum conicum (Linne) Dum.
분류 : 선태식물 > 선강 > 참이끼목 > 패랭이우산이끼과
분포 : 한국, 일본, 북반구.]
형태 : 엽상체는 담록색이거나 녹색이며 길이는 3~15cm이고 나비는 1~2cm이며 2갈래로 갈라진다.
기실은 크게 1층으로 되어 있고 그 밑부분에는 녹색인 동화사가 밀생되어 있으며,
동화사의 끝에는 새의 부리같이 약간 돌출한 투명 세포가 각각 1개씩 붙어 있다.
복인편은 2갈래이고 잎맥 부분에는 헛뿌리가 있으며 그 양쪽에 병렬되어 있는데 반달 모양이며
끝에 자주색의 둥근 부속물이 붙어 있다.
암수딴그루이다.
암생식기기탁인 자기탁(雌器托)은 엽상체의 끝에 생기며 자루는 길고, 헛뿌리 홈은 없으며 흰색이다.
암생식기탁은 원뿔형이며 속에 5~8개의 주머니 모양인 포막을 만들며,
각 포막에는 각각 1개씩의 포자체가 들어 있다.
삭은 짧은 삭병이 함께 붙어 있으며 4~8갈래로 갈라진다.
탄사는 3~5 중 나선상인데 변화가 심하여 짧은 편이다.
포자의 지름은 70~90μ인데 녹갈색이다.
수생식기탁은 자루가 없으며 엽상체의 끝에 생기고 나비 모양과 같은 원판상이며 검은 자주색이다.
생육환경 : 인가 부근이나 들의 물기가 많은 돌이나 간혹 땅에 군생한다.
아고산대까지 난다.
출처 :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





2020년 5월 7일 강원도 높은산에서
'식물 > 양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새 (20200617) (0) | 2020.08.21 |
---|---|
구슬이끼 (20200507) (0) | 2020.06.17 |
표주박이끼 (20200507) (0) | 2020.06.17 |
고란초 (20191213) (0) | 2020.02.11 |
거미고사리 (20191213)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