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안의 작은 섬에서 본 다정큼나무입니다.
바닷가 바위 틈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다정큼나무
학명 :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다정큼나무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해안 지역
일본, 타이완
생태 : 상록활엽수로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상록 떨기나무로 높이는 2~4m에 이른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지만 가지 끝에 모여난 것처럼 보인다.
잎은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잎가장자리에 톱니 없거나 약간 있다.
꽃은 흰색으로 지름 2cm 정도로 가지 끝에서 길이 5~15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둥근 이과이다.
이용 및 활용 : 정원수, 생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수피는 그물 염료로 이용한다.
해설 : 제주도, 경상남도 및 전라남도의 건조한 암석 사이에서 생육하는 상록활엽수로
내륙으로의 분포 확대 및 북상 예상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기후변화생물지표100종









2022년 5월 7일 경남 남해안의 작은 섬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쪽동백나무 (20220510) (0) | 2022.06.29 |
---|---|
돈나무 (20220507) (0) | 2022.06.27 |
철쭉 (20220504) (0) | 2022.06.20 |
쇠물푸레나무 (20220504) (0) | 2022.06.20 |
주걱댕강나무 (20220503)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