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지에서 나와 이도백화 숙소로 가다가 예전휴게소에서 잠시 쉬었습니다.
주차장 옆에 털향유가 있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개울 옆에 풀밭이 있어 내려갔다가 왕별꽃을 보았습니다.
국명 : 왕별꽃
학명 : SStellaria radians L.
국명이명 : 큰산별꽃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Stellaria 별꽃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중국,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벋는다.
전체에 누운 털이 드물게 있다.
줄기는 높이 40~6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조금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3~12cm, 폭 1~2.5c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3cm이며 꽃이 핀 후 밑으로 구부러진다.
포는 잎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5장이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6~8mm이다.
꽃잎은 5장이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길거나 비슷하고 끝이 5~7갈래로 갈라져 깃 모양이 된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난형의 삭과이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길다.
씨는 둥근 신장형이며 겉에 돌기가 있다.
이용 및 활용 : 식용
해설 : 국내 별꽃속 식물 중에서 꽃잎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잎과 줄기에 누운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개울에는 매화마름도 있었습니다.
지는 꽃을 보았습니다.
개울가에 독미나리도 보였습니다.
개울 반대 언덕에는 꼬라조팝나무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길가 화단에 캐모마일도 피었습니다.
2023년 7월 26일 예전휴게소에서
'식물 > 백두산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방망이 외 - 장백폭포에서 (20230727) (79) | 2023.10.14 |
---|---|
장백폭포에서 (20230727) (0) | 2023.10.14 |
애기기린초 외 - 백두산 만강에서 (20230726) (62) | 2023.10.08 |
나래박쥐나물 외 - 왕지에서 (20230726) (68) | 2023.10.06 |
곤달비 외 - 왕지에서 (20230726) (59)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