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들꽃(초본)

노랑앉은부채 (20170318)

by 청계 1 2017. 3. 29.



앉은부채 중에서 포가 노란색도 보입니다.
포의 색이 다르다고 앉은부채와 비교하여 노랑앉은부채라고 불리웁니다.
국생종에는 정식으로 등록은 되지 않앗다고 합니다.
포 속의 육수꽃차례까지 노랑색인 것도 있지만 꽃차레는 갈색인 것도 있습니다.
포가 갈색과 흰색의 중간인 미색도 보입니다.



2월 말에서 3월 초, 아직도 계곡 그늘에는 잔설과 녹지 않은 얼음들이 여기저기 눈에 띄지만 양지쪽에는 새싹이 불쑥 올라오곤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복수초로 흔히 눈 속에 피는 꽃이라고 하는데, 그에 못지않은 것이 바로 앉은부채이다.
흥미로운 것은 앉은부채가 있는 곳은 주변보다 온도가 더 높다는 사실이다.
이는 뿌리에 저장된 녹말을 스스로 분해해서 산소호흡을 통해 보통 12~14일까지의 개화 시기 동안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 자란 이 식물의 잎은 꼭 부채처럼 큰데, 그래서 앉은부채라고 한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실은 가부좌를 틀고 앉은 부처님과 닮아서 ‘앉은부처’라고 부르던 것이 바뀐 것이다.
앉은부채는 전국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골짜기나 약하게 경사진 곳에서 잘 자라며, 키는 10~20㎝이다.
잎은 길이가 30~40㎝, 폭이 35~42㎝로 둥글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뿌리에서 발달되어 나온다.
꽃은 3~5월에 검은 자갈색으로 피며, 길이는 10~20㎝이고 포의 길이는 8~20㎝, 지름 5~12㎝이다.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꽃이 꼭 도깨비방망이 끝 부분같이 생기기도 했다.
열매는 빨간색으로 6~7월경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잎은 꽃이 시든 후 크게 펼쳐져 봄나들이를 할 때에는 꽃이 시들어버리고 잎만 무성하게 자라므로 품종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이른 봄 자생지에 가면 꽃 안에 들어 있는 열매가 사라지고 없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겨우내 굶주렸던 들쥐가 따 먹었기 때문이다.
천남성과에 속하며, 산부채풀, 삿부채잎, 우엉취라고도 한다.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이는데, 유독성 식물이므로 물에 잘 우려낸 뒤 먹어야 한다.
한방에서는 줄기와 잎을 이뇨제 등의 약으로 쓰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아무르 강, 우수리 강,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야생화백과사전 봄편에서











2017년 3월 18일 충북의 야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바람꽃 (20170317)  (0) 2017.03.31
앉은부채 (20170318)  (0) 2017.03.29
애기괭이눈 (20170316)  (0) 2017.03.28
산자고 (20170316)  (0) 2017.03.28
현호색 (20170316)  (0) 2017.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