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에 만난 솔붓꽃입니다.
각시붓꽃을 보고 돌아나오다가 풀밭에서 솔붓꽃을 만났습니다.
이른 아침에 만난 솔붓꽃은 꽃과 잎에 이슬을 매달고 있습니다.
현화식물문 백합강 백합목 붓꽃과 붓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래는 높은 지역에서 자라는 북방계 식물이지만 한반도에서는 저지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8~13cm이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잎은 선형이며, 꽃이 지면 길게 발달하여 5~30cm에 이른다.
4월에 보라색 꽃이 피며, 꽃줄기의 길이는 2~6cm이다.
꽃은 꽃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고, 직경 3.0~4.5cm이다.
열매는 익으면 벌어져 씨를 퍼트리는 삭과(殼果)이다.
흔히 각시붓꽃과 혼동하는데, 각시붓꽃은 전국의 산지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솔붓꽃은 각시붓꽃과 달리 꽃잎의 폭이 좁고, 꽃이 필 때 항상 잎이 꽃줄기보다 길다는 특징이 있다.
마을 근처 저지대의 소나무 숲, 풀밭, 언덕, 또는 해가 비치는 모래땅, 무덤의 잔디밭에 무리 지어 생육한다.
이제까지 남한 지역에서 발견된 자생지는 모두 해발 고도가 낮은 민가 주변 무덤의 잔디밭이나 주변의 숲속이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의 길림성, 흑룡강성, 랴오닝성 등 동북지방과 운남성, 해남성 등
위도가 낮은 지역의 해발 1800m 이상의 고지대, 몽골,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을 거쳐 동유럽까지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경기, 강원, 충남 지역의 저지대에 널리 분포했으나, 각종 개발 사업으로 자생지가 파괴되어 위험에 처해 있다.
2014년 전라남도 해안에서 관찰되었다.
환경부가 2012년부터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다음백과
무덤가 풀밭에 각시붓꽃이 피었습니다.
이른 아침에 만난 각시붓꽃은 꽃과 잎에 이슬을 매달고 있습니다.
아직 쌀쌀한 봄의 어느 날 뒷동산을 걷다가 풀밭에서 보랏빛 각시붓꽃을 만나면 여간 기쁜 게 아니다.
‘이제는 정말 봄이로구나!’ 하는 기쁜 마음이 드는 것이다.
‘기쁜 소식’이라는 각시붓꽃의 꽃말이 하나도 틀리지 않는다.
붓꽃은 키가 60㎝가 넘지만 각시붓꽃은 10~20㎝밖에 안 된다.
그래서 ‘각시’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애기붓꽃이라고도 한다.
각시붓꽃은 햇볕이 부드럽게 내리쬐는 인적 드문 양지쪽에 몇몇이 모여 봄을 속삭이는 듯하다.
마치 수줍은 새색시들이 봄나들이를 나선 것 같다.
각시붓꽃은 우리나라 산 어디에서도 자라는 들꽃이다.
한 해만 피고 마는 일년생이 아니라 여러 해 피었다 지고 또 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니 뒷동산에서 각시붓꽃을 만나면 꼭 기억해 두자.
다음 해 봄에도 각시붓꽃은 그곳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테니.
각시붓꽃은 봄이 가기 전에 꽃을 땅에 떨어뜨린다.
하지만 가늘고 긴 잎은 30㎝ 정도까지 계속 자란다.
꽃의 크기는 3~4㎝, 꽃잎 안쪽에 수술과 암술이 들어 있다.
꽃이 지면 갈색의 열매가 6~7월경에 긴 타원형으로 달리고, 그 속에 약간 반짝거리는 검은색 씨가 들어 있다.
갑자기 꽃샘추위가 찾아오면 뒷동산에 두고 온 각시붓꽃이 걱정되곤 한다.
하지만 이른 봄에 피는 꽃은 그쯤은 각오하고 핀다는 것을 기억하자.
각시붓꽃은 붓꽃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와 일본 남부, 중국 북동부 및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야생화백과사전 봄편
2017년 4월 21일 대구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바람꽃 (20170421) (0) | 2017.12.29 |
---|---|
애기자운 흰꽃 (20170421) (0) | 2017.12.28 |
장구채 (20170420) (0) | 2017.12.26 |
노랑붓꽃 (20170418) (0) | 2017.12.25 |
흰자주괴불주머니 (20170418) (0) | 201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