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곰취16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흡수골 안쪽으로 가서 호수 옆의 숲속에서 꽃 탐사를 하였습니다.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도 보았습니다.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도라지가 연상이 되는 초롱꽃속 식물을 보았습니다. 몽골울 다녀온 사람들이 캄파눌라속(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호수 옆의 풀밭에 곰취가 있습니다. 몽골의 초원에서 자라는 곰취(Ligularia?sibirica)입니다. 용담과로 보이는 식물을 만났습니다. 넓은 잎이 푸른색 작은 통꽃 여러 개를 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큰용담(Gentiana macrophylla)이라고 하였습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2024. 10. 22.
고산봄맞이(Androsace lehmanniana Spreng.) 외 - 흡수골 아트88리조트 앞에서 (20240630) 30일 아침에 흡수골의 리조트 앞에서 꽃탐사를 하였습니다. 고산봄맞이(Androsace lehmanniana Spreng.)도 아침 햇살을 받고 있습니다. 줄기에 털이 많이 보입니다.      버들이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흡수굴에 오면서 도로변에서 보았던 버들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설앵초가 고운 색으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시베리아앵초(Primula nutans Georgi)라고 하였습니다.    금매화(Trollius ledebourii Rchb.)도 보았습니다.   가는잎조팝나무(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도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풀밭에 곰취도 보입니다. 키가 작고 잎도 삼각상 타원형인 몽골의 곰취(Ligularia sibirica).. 2024. 10. 14.
개제비란(Coe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외 - 쳉헤르온천의 습지에서(20240626) 온천수가 나오는 곳에는 김이 솟고 있었습니다. 그 옆의 습지를 찾았습니다. 개제비란(Coe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이 아침 해를 맞고 있었습니다.        검은낭아초(Potentilla palustris)도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물이 고인 곳에 미나리아재비과의 노란색 꽃이 보였습니다. 물미나리아재비(Ranunculus gmelinii D C)로 정리한 자료를 보았습니다.   장구채도 보았습니다. 오랑캐장구채로 보입니다.  . 곰취도 보았습니다.     노란색 긴 꽃줄기에 노란색 꽃을 피운 송이풀속 식물을 보았습니다. 긴꽃자루송이풀(Pedicularis longiflora ssp. tubiformis)입니다.        씨범꼬리도 보였습니다.   붉.. 2024. 8. 31.
곰취 (20220804) 전북의 높은 산에서 본 곰취입니다. 국명 : 곰취 학명 :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곰취속 분포 : 전국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0~200cm다. 뿌리잎은 신장상 심장형, 길이 32cm, 폭 40cm쯤,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3장쯤, 작고, 잎자루 밑이 넓어져 줄기를 싼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30cm쯤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4~5cm다. 꽃대는 1~9cm다. 꽃싸개잎은 1장 있다. 머리모양꽃에.. 2022. 10. 6.
곰취 (20210911)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본 곰취입니다. 식물명 : 곰취 학명 :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분류 : 국화과 곰취속 분포 : 전국 고산지대인 깊은 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태 : 깊은 산 습지에서 주로 자라나 해발 고도에 따라 생육지의 주변 환경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500m 이상에서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풀밭에 다른 잡초들과 섞여서 생육하고 낮은 곳에서는 낙엽수림 하부의 북사면에 주로 생육한다. 크기 : 높이가 1-2m이다. 잎 : 근생엽은 길이가 85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며 콩팥모양이고, 길이 32cm, 폭 40cm로 가에는 규칙적인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가 60cm 정도로 날개가 없다. 줄기잎은 보통 3개가 달리고 .. 2021. 10. 31.
곰취 (20191103) 제주 한라생태숲에서 본 곰취입니다. 마른 꽃대에 싸를 풍성하게 맺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곰취 학명 :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분류 : 국화과 곰취속 분포 : 전국 고산지대인 깊은 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태 : 깊은 산 습지에서 주로 자라나 .. 2020. 1. 13.
한라바늘꽃 외 (20180905) 제주 한라생태숲에서 본 한라바늘꽃입니다. 연못가에서 분홍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바늘꽃과 비교하면 씨방과 꽃자루에 굽은 털과 샘털이 함께 나므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식물명 : 한라바늘꽃 학명 : Epilobium pyrricholophum var. curvatopilosum H. Hara 분류 : 도금양목 > 바늘꽃과 > 바늘.. 2018. 10. 2.
자주꽃방망이 (20170727) 7월 말이면 만항재에서 야생화축제가 열립니다. 축제가 열릴 때면 만항재가 너무 붐빌 것 같아 27일에 만항재를 찾았습니다. 풀밭에 꽃대 끝에 자주색 꽃이 뭉쳐서 피었습니다. 자주꽃방망이입니다.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풀밭에서 .. 2017. 8. 28.
곰취 (20160722) 만항재를 가다가 만난 곰취입니다. 산비탈의 밭에 키우고 있었습니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원이나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다. 뿌리줄기가 굵고 털이 없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가 9cm에 이르는 것이 있고 큰 심장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 2017.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