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230

노루귀 (20210205) 2021년 신축년에 들어 처음 본 노루귀입니다. 2월이 되었는데도 바람이 차가와서 꽃이 이를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양지바른 곳에 노루귀를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추위를 이기려고 털을 세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각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10cm 정도 된다. 잎 :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밋밋하다. 중앙열편은 삼각형이며 양쪽 열편과 더불어 끝이 뾰족하고 이른 봄 잎이 나올 때는 말려서 나오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 2021. 2. 14.
복수초 (20210205) 2021년 신축년에 들어 처음 본 복수초입니다.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코로나가 걱정이 되어 꽃나들이를 조심하다가 2월이 되어서는 기다리지 못하고 복수초가 피는 곳을 찾았습니다. 1월에 영하의 기온이 계속되어 봄에 피는 꽃이 조금 늦을 것이라고 예상을 하였는데 꽃은 영하의 기온과는 상관없이 꽃을 피울 시기가 되면 어김없이 꽃을 피웠습니다. 걱정을 하면 찾았는데 노란 복수초를 만나서 너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복수초 학명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복수초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 2021. 2. 10.
매화마름 (20201110) 경북의 바닷가 옆의 수로에서 본 매화마름입니다. 물풀에 핀 꽃이 매화처럼 곱다고 매화마름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였습니다. 식물명 : 매화마름 학명 :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속 분포 : 일본 / 한국(전역) 형태 : 다년생 수초 생육환경 : 우리나라 각처의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크기 : 길이 5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엽초위에 잔털이 돋은 짧은 엽병이 있고 3-4회 갈라져서 실같은 열편으로 된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과 마주나기한 꽃대는 길이 3-7cm이며 물 위로 올라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길이 3-4.5mm이며 털이 없고 꽃잎.. 2021. 1. 13.
참줄바꽃 (20201008) 대구의 야산에서 본 참줄바꽃입니다. 계곡을 따라 산으로 올라가는 산행로 주변에서 길게 자란 줄기에 자주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북방계 식물이라고 하는데 영남의 야산에서 만날 수 있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참줄바꽃 학명 : Aconitum villosum Rchb.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깊게 갈라지기 때문에 5개로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털이 없으나 표면은 엽병의 가장자리와 더불어 .. 2020. 12. 13.
놋젓가락나물 흰꽃 (20200916) 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놋젓가락나물입니다. 놋젓가락나물이 자주색 꽃을 피우는데 흰색으로 꽃을 피운 모습을 만나게 되어 많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놋젓가락나물 학명 : Aconitum ciliare DC.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서울 북한산, 경북, 전남, 전북, 충남, 강원, 경기,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록 숲속에 난다. 크기 : 길이 2m 잎 : 잎은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3-5갈래로 전열(全裂)되며 열편은 능형(菱形)이고 다시 갈라진 피침형의 최종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꽃의 수가 적고 꽃대축과 꽃자루에 잔털이 난다.. 2020. 11. 15.
놋젓가락나물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놋젓가락나물입니다. 투구꽃과 같은 종류인데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면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놋젓가락나물 학명 : Aconitum ciliare DC.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서울 북한산, 경북, 전남, 전북, 충남, 강원, 경기,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록 숲속에 난다. 크기 : 길이 2m 잎 : 잎은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3-5갈래로 전열(全裂)되며 열편은 능형(菱形)이고 다시 갈라진 피침형의 최종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꽃의 수가 적고 꽃대축과 꽃자루에 잔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같고 5개.. 2020. 11. 15.
백부자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백부자입니다. 긴 줄기 끝에 투구 모양의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백부자(노랑돌쩌귀) 학명 : Aconitum coreanum (H.Lev.) Rapaics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한국(함경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경기도; 강원도 정선군, 평창군; 충청북도 제천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생육지는 지형적으로 산복부나 능선지역이며, 토양은 약간 건조한 곳이다. 크기 : 높이가 1m에 이른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 2020. 11. 13.
개마투구꽃 (20200916) 강원도 높은 고개에서 만난 개마투구꽃입니다. 북방계식물로 개마고원에서 자란다는 투구꽃으로 몇 해 전에 발견이 되었다고 안내를 받았습니다. 국생종에는 미등록종이라 아직 안내를 하는 자료가 없었습니다. 식물명 : 개마투구꽃 학명 : Aconitum kaimaense Uyeki et Sakata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정선·평창·홍천 등 해발 800m 이상 중산간 지역 생육환경 : 찬바람이 부는 곳에서 자생 잎 : 잎이 원형, 타원형으로 풍성하며 갈래조각의 끝이 뾰족하지 않은 점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작은 꽃자루에는 길고 구부러지는 털이 있으며, 5개 또는 드물게 4개이기도 한 골돌(열매)과 꽃받침에도 털이 많다. 특징 : 황백색에 작은 꽃자루에.. 2020. 11. 12.
투구꽃 (20200916) 강원도 평창의 야산에서 본 투구꽃입니다. 진한 보라색 꽃을 피운 모습이 고왔습니다. 식물명 :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육환경 : 심산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m에 달한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 202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