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잎새바위솔5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us (L.) sweet) 외 - 차강호 풍혈지에서 (20240628) 바위 위에 자리한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us (L.) sweet)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만난 잎새바위솔은 꽃대가 올라오는 중이었는데 좋은 곳에 자리하여서인지 꽃을 피운 모습이 반가왔습니다.             가는범꼬리(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도 보았습니다.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도 보았습니다. 꽃은 몇 송이만 피었습니다. 개형개(Nepeta multifida L.)도 보았습니다.  바닥에 누워서 노란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시호(Bupleurum falcatum L.)가 위로 자라지 못한 상태로 보였습니다.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2024. 9. 30.
시베리아매자나무(Berberis sibirica Pall.) 열매 외 - 차강호 호르구 분화구 아래에서 (20240627) 매자나무가 열매를 매달고 있습니다. 시베리아매자나무(Berberis sibirica Pall.)라고 하였습니다.        패랭이꽃도 돌 위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노란색 꽃을 피운 쑥도 보았습니다.   돌지치(Lappula heteracantha (Ledeb.) Guerke)도 보았습니다.    바위 앞에서 가는장대(Dontostemon pinnatifidus)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키가 500원 동전 크기만 하였습니다.  개형개(Nepeta multifida L.)도 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바위에 돌꽃(Rhodiola rosea)도 피었습니다.      바위에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us (L.) sweet)도 꽃대를 올리고 있었습니다.   돌 위에 누워서 꽃을 피운 시.. 2024. 9. 13.
잎새바위솔 외 - 테를지국립공원의 산에서 (20230711) 바위가 있는 곳에서 잎새바위솔을 만났다. 꽃대를 올리는 중이었는데 개체수가 많았다.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a (L.) Sweet)은 근생엽은 무더기로 모여나고 이듬해에 근생엽들 사이에서 꽃대가 자란다. 바위 주변에 잎새바위솔이 많이 자리를 잡고 있다. 바위가 있는 높은 곳에서 장구채를 만났다. 오랑캐장구채와는 다른 장구채로 보인다. 가는다리장구채(Silene jenisseensis Willd.)인 것 같다. 옆에 오랑캐장구채로 보이는 장구채가 있어 비교가 되었다. 잎새바위솔이 자라는 바위가 있는 곳에서 본 구름국화이다. 바위에 백리향도 분홍색 꽃을 피우고 있다. 몽골백리향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바위가 있는 능선에 별꽃이 다발로 피었다. 별꽃속(Stellaria dichotoma L.. 2023. 9. 2.
몽골할미꽃 외 - 태를지국립공원의 게르캠프에서 (20180703) 할미꽃도 곱게 피어서 반겨주었습니다. 우리나라 할미꽃과는 달리 꽃이 하늘로 향해 피었습니다. 잎도 가는 편입니다. 몽고할미꽃이라 하였습니다. 구름체꽃입니다. 솔체꽃은 국내에서 많이 보았지만 구름체꽃은 타국에 와서 처음 대면을 하였습니다. 잎이 가늘고 가는 줄기에 작은 꽃.. 2018. 8. 25.
태를지국립공원으로 이동하며 (20180702) 칭기즈 칸 기념관을 둘러보고 나와서 몽골 초원을 한참 달렸습니다. 가축들이 풀을 뜯는 모솝과 게르가 있는 풍경이 아름다왔습니다. 언덕에 돌을 모아놓고 깃발이 세워진 규모가 꽤나 큰 어워가 보입니다. 그곳에서 잠시 쉬어가기로 하엿습니다. 어워에서 소원을 빌며 이루어진다는 이.. 2018.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