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화마름10

쇠뜨기말풀(Hippuris vulgaris L.) 외 - 흡수골 호수 옆에서 (20240701) 흡수굴호 옆에 작은 호수가 있습니다. 물가에서 긴꽃자루송이풀(Pedicularis longiflora ssp. tubiformis)을 보았습니다.    물가에 흰꽃동의나물(Caltha natans Pall.)도 피었습니다.       물솜방망이(Tephroseris pseudosonchus)도 보았습니다. 물에 매화마름(Ranunculus trichophyllus)도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쇠뜨기말풀(Hippuris vulgaris L.)도 보았습니다. 꽃도 피우고 있어 작은 꽃을 담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L.)도 물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호수에는 물여뀌도 보였습니다. 2024. 11. 1.
백리향(Thymus gobicus) 외 - 차강호 호숫가에서 (20240628) 차강호 숙소 앞의 언덕에 백리향(Thymus gobicus)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운 백리향도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백리향과는 다른 종이라고 하였습니다.            너도개미자리(Minuartia laricina (L.) Mattf.)도 무리를 이루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은빛꼬리풀(Veronica incana L.) 흰꽃도 보았습니다.    백리향 속에 장구채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차강호 톨고이 캠프를 출발하여 바로 앞의 고개를 넘어면서 차의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해야한다고 차를 세웠습니다. 차가 쉬니 우리는 또 풀밭에서 식물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솜다리가 풀 사이에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솜다리도 종류가 다양하여 몽골의 솜다리(Leontopodium ochroleucum).. 2024. 9. 27.
매화마름(Ranunculus trichophyllus) 외 - 차강호 습지에서 (20240627) 점심을 먹고 차강호 안쪽의 습지에 식물 탐사를 갔습니다. 물이 흐르는 곳에 하얀 꽃이 피었습니다. 매화마름(Ranunculus trichophyllus)입니다.     습지에 미나리아재비과의 식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북미나리아재비(Ranunculus natans C. A. Mey.)입니다.  습지에 또다른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긴 잎자루에 가장자리가 얕은 결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덩굴미나리아재비(Halerpestes cymbalaria (Pursh) Greene)로 보입니다.    진흙에 또다른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이 보였습니다. 붉은 기는 줄기가 튼실하고 잎도 잘게 갈라졌습니다. Ranunculus kangmaensis W. T. Wang의 학명을 가진 미나리아재비속 식물로 보입.. 2024. 9. 21.
왕별꽃 외 - 백두산 예전휴게소에서 (20230726) 왕지에서 나와 이도백화 숙소로 가다가 예전휴게소에서 잠시 쉬었습니다. 주차장 옆에 털향유가 있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개울 옆에 풀밭이 있어 내려갔다가 왕별꽃을 보았습니다. 국명 : 왕별꽃 학명 : SStellaria radians L. 국명이명 : 큰산별꽃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Stellaria 별꽃속 분포 : 북부지방 러시아, 중국,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벋는다. 전체에 누운 털이 드물게 있다. 줄기는 높이 40~6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조금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 2023. 10. 9.
나도마름아재비 외 - 흡수굴의 호숫가에서 (20230709) 흡수굴 호숫가의 습지를 중심으로 꽃을 찾았다. 물가에서 본 나도마름아재비Halerpestes sarmentosa (Adams) Kom.이다.     동행을 한 지인이 작은 꽃을 찾아서 보다가 쇠비름아재비라고 알려주었다.  앵초속 식물이 개구리미나리와 함께 꽃을 피우고 있다. 설앵초로 보이는데 조금 다른 것 같다고 한다. 앵초속(Primula algida Adams) 식물로 정리하였다.            호숫가에 씨범꼬리도 피었다. 별꽃도 보인다. 무슨 별꽃인지는 모르겠다.   비가 내리다가 그치자 호수에 무지개가 떳다. 호수에 오리가 한가하게 놀고 있다.  호숫가에서 나오는데 말이 지나가고 있다.  흡수굴 호숫가의 습지에서 본 매화마름이다.          물에 흰꽃동의나물(Caltha natans P.. 2023. 8. 26.
매화마름 (20201110) 경북의 바닷가 옆의 수로에서 본 매화마름입니다. 물풀에 핀 꽃이 매화처럼 곱다고 매화마름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였습니다. 식물명 : 매화마름 학명 :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속 분포 : 일본 / 한국(전역) 형태 : 다년생 수초 생육환경 : 우리나라 각처의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크기 : 길이 5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엽초위에 잔털이 돋은 짧은 엽병이 있고 3-4회 갈라져서 실같은 열편으로 된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과 마주나기한 꽃대는 길이 3-7cm이며 물 위로 올라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길이 3-4.5mm이며 털이 없고 꽃잎.. 2021. 1. 13.
개들쭉나무 외 - 진천림에서 (20190725) 개들쭉나무도 긴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줄기에 털이 보입니다. 단풍터리풀도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전날 이도백하에서 보았던 털향유도 보입니다. 흐르는 물속에 풀이 흔들립니다. 매화마름입니다. 물가에 독미나리도 만났습니다. 풀 사이에서 노란 꽃을 피운 좁쌀풀도 보았습니다. 나.. 2020. 1. 16.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2019년 6월 27일 몽골의 흡수굴 호수 주변의 습지에서 본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입니다. 식물명 : 매화마름 학명 :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속 분포 : 일본 / 한국(전역) 형태 : 다년생 수초 생육환경 : 우리나라 각처의 늪이.. 2019. 11. 13.
분홍바늘꽃 외 - 흡수굴 호숫가에서 (20190627) 호숫가에서 준비한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었습니다. 호숫가를 둘러보려고 아침에 나오면서 미리 준비를 도시락입니다. 점심을 먹고 호숫가로 나가니 분홍색 꽃을 피운 분홍바늘꽃이 돌밭에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분홍바늘꽃이고 하면서 들여다보는데 보통 보는 분홍바늘꽃과는 달리 .. 2019.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