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12 큰솔나리(Kilium pumilum Redoute) 외 - 테를지에서 (20240703) 테를지의 야산을 오르면서 꽃 탐사를 하였습니다. 큰솔나리(Kilium pumilum Redoute)입니다. 큰점나도나물(Cerastium fischerianum Ser.)도 보았습니다. 꼬리풀과 큰점나도나물이 같이 어울려 있습니다. 가시범의귀(Saxifraga spinulosa Adams.)는 꽃이 대부분 지고 있었습니다. 씨를 맺은 모습과 늦게 핀 꽃을 같이 보았습니다. 몽골좁은잎해란초(Cymbaria dahurica L.)도 노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키가 작고 분백색인 은빛꼬리풀(Veronica incana L.)을 보았습니다. 은빛꼬리풀(Veronica incana L.)이 흰꽃을 피운 모습도 보았습니다. 솜다리(Leontopodium oc.. 2024. 11. 15.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Kitam.) 외 - 흡수골로 가면서 (20240629) 흡수골 가는 길은 초원도 가르고 높은 고개도 넘었습니다.고개에서 잠시 쉬었습니다.민들레와 비슷한 노란색 꽃이 소똥 옆에서 피었습니다.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Kitam.)입니다. 솜다리(Leontopodium ochroleucum)도 보입니다. 고산개미취(Aster alpinus L.)도 피었습니다.풀밭에 양지꽃도 보였습니다. 고개를 넘어오니 풀밭이 노랗습니다. 콩과 식물로 보입니다. 몽골의 초원에 자라는 황기(Astragalus mongholicus)라고 하는데 알타이황기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타래붓꽃(Iris lactea)이 풀밭에 많이 보입니다. 차에서 보아서인지 꽃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마을을 지나고 고개를 넘으며 계속 갔습니다. 고개를 넘어가다가 .. 2024. 10. 10.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us (L.) sweet) 외 - 차강호 풍혈지에서 (20240628) 바위 위에 자리한 잎새바위솔(Orostachys spinosus (L.) sweet)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만난 잎새바위솔은 꽃대가 올라오는 중이었는데 좋은 곳에 자리하여서인지 꽃을 피운 모습이 반가왔습니다. 가는범꼬리(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도 보았습니다.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도 보았습니다. 꽃은 몇 송이만 피었습니다. 개형개(Nepeta multifida L.)도 보았습니다. 바닥에 누워서 노란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시호(Bupleurum falcatum L.)가 위로 자라지 못한 상태로 보였습니다.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2024. 9. 30. 큰솔나리(Kilium pumilum Redoute) 외 - 차강호 가는 길의 야산에서(20240626) 아침 식사를 하고 차강호로 출발했습니다. 숙소에서 나오는 길이 비포장도로인데다 전날 비가 내려서 길이 좋지 않아 출발부터 차가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언덕을 넘어가니 산에 꽃들이 보였습니다. 붉은 색으로 핀 큰솔나리(Kilium pumilum Redoute)가 눈에 띄었습니다.풀밭으로 들어가니 여기저기에서 큰솔나리가 붉은색 꽃을 화사하게 피우고 있습니다. 줄기에 난 잎이 솔잎을 닮았습니다. 멀리 가야하니 그냥 가야하는데 차창 밖에 보이는 꽃들을 두고 그냥 갈 수가 없다며 차를 세웠습니다. 차에서 내리니 바로 앞에 쥐손이풀이 오이풀과 같이 피어있었습니다. 속단 비슷한 식물도 보였습니다. Phlomoides tuberosa Moench로 보이는 속단속 식물입니다. 오이풀도 보았습니다. 줄기.. 2024. 9. 1. 시호 (20220824) 경북 봉화군의 높은 고개에서 본 시호입니다. 국명 : 시호 학명 : Bupleurum komarovianum Lincz.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목 > 미나리과 > 시호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생태 : 산과 들의 숲 가장자리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아래쪽이 목질화되며, 가지가 조금 갈라지고, 높이 100cm에 이른다. 잎은 줄기 아래쪽에서는 피침형이지만 위로 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잎밑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꽃은 8~9월에 겹산형꽃차례로 피며, 노란색이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다. 열매는 분과다. 이용 및 활용 : 관상 가치가 높다. 뿌리를 약용한다. 해설 : 이 종은 참시호에 비.. 2022. 11. 18. 시호 (20210910) 경북 야산의 나무 아래에서 본 시호입니다. 식물명 : 시호 학명 : Bupleurum falcatum L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시호속 분포 : 일본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야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40~70cm이다. 잎 : 근생엽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0-30cm이고 줄기잎은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10cm, 폭 5-15mm로서 평행한 맥이 있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원줄기에 달리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겹우산모양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소산경은 2-7개이고 총포조각은 길이 0-15mm로서 선상 피침형이며 소산화서에 5-10개의 꽃이 .. 2021. 10. 25. 가는쑥부쟁이 외 - 조양천에서 (20190722) 백두산에 꽃을 만나러 갔습니다. 7월 22일 9시에 부산에서 연길에 가는 비행기를 탔습니다. 연길에 도착을 하니 현지시각으로 11시 반이었습니다. 연길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조양천에 갔습니다. 풀밭으로 들어가니 비가 오고 그친 뒤라 땅이 질었습니다. 미끄러지면서 들어선 곳에 가는잎.. 2020. 1. 2. 시호 Bupleurum falcatum L 2019년 7월 1일 몽골 젤레떼협곡에서 본 시호 Bupleurum falcatum L 입니다. 식물명 : 시호 학명 : Bupleurum falcatum L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시호속 분포 : 일본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야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40~70cm이다. 잎 : 근생엽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2019. 12. 3. 아마 외 - 졸레떼 협곡에서 (20190701) 7월 1일 아침에 눈을 뜨니 비가 내리고 있었습니다. 차강호의 고운 일출을 한번 더 보려고 벼르고 있었지만 하늘이 도와주지를 않았습니다. 아침 식사를 하고 차강호를 나와 아르항가이 온천으로 이동을 하였습니다. 가는 도중에 졸레떼 협곡에 들렸습니다. 협곡은 꽤나 깊었습니다. 긴 .. 2019. 10. 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