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제주도야생화

털진달래 외 - 위세오름에서 (20170525)

by 청계 1 2017. 6. 7.



위세오름 아래 선작지왓에 핀 털진달래를 보려고 이른 시간에 영실을 찾았습니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이른 시간에 영실에서 위세오름으로 오르기 시작하였습니다.
깔딱고개에서 가쁜 숨을 몰아쉬며 올랐는데 이른 시간이라 그리 힘든줄을 몰랐습니다.
선작지왓에 이르렀습니다.
멀리 한라산 정상의 모습이 보입니다.
선작지왓의 평지 여기저기에 붉게 핀 털진달래가 보입니다.
털진달래가 핀 선작지왓의 풍경이 장관입니다.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 고지대 능선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0.5-2.0m이다.
어린 가지와 잎에 털이 많이 난다.
꽃은 5-6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동시에 피며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고, 진한 분홍색, 지름 2-4cm이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이다.
진달래에 비해서 고산지역에 자라며, 어린 가지, 잎 앞면, 잎 가장자리, 잎자루 등에 털이 늦게까지 남아 있고, 꽃은 더욱 늦게 피므로 구분된다.
일본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꽃은 식용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위세오름에서 남벽으로 가는 길에 구상나무가 많았습니다.
구상나무의 옆으로 뻗은 줄기에 솔방울이 위로 달리고 있습니다.
아직은 일러서 작기만 한 구상나무 솔방울이 귀엽고 앙증스럽습니다.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제주도, 지리산 노고단 임걸령, 전라북도 덕유산 등지에서만 자란다.
키는 18m에 달하며 오래된 줄기의 껍질은 거칠다.
어린가지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황록색을 띠지만 자라면서 털이 없어지고 갈색으로 변한다.
잎은 길이 0.9~1.4㎝, 너비 2.1~2.4㎜ 정도로 작으며 잎 끝이 얕게 갈라졌다.
구과는 원통처럼 생겼는데 길이 4~6㎝, 지름 2~3㎝ 정도이며, 밑으로 처지지 않고 위로 곧추서고 녹갈색 또는 자갈색을 띤다.
씨를 감싸는 조그만 잎처럼 생긴 포편의 끝에는 뾰족한 돌기가 나와 뒤로 젖혀져 있다.
때때로 구과의 색깔이 파란색, 흑자색 또는 약간 붉은색이 되기도 하여 이들을 각각 푸른구상, 검은구상·붉은구상이라고 부른다.
젓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잎 끝이 오목하게 갈라진 점과 구과에 달린 포편의 끝이 뒤로 젖혀지는 점이 다르다.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해발 1,500m에서부터 산꼭대기 근처까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그러나 잎 속에 기름이 많이 들어 있어 안개와 빗물에 젖은 잎과 가지라도 쉽게 불에 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구상나무를 불쏘시개로 이용하여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데,
요즘에는 이런 일이 줄어들었지만 폭설로 인하여 큰 구상나무들이 많이 파괴되고 있어 보호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잎 뒤에 기공이 나란히 나 있는 기공선이 매우 희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나무 전체가 은녹색으로 보이며 매우 아름다워 가끔 정원수로 쓰인다.
물이 잘 빠지며 점토질이 섞인 땅에서 잘 자란다.
건축재·가구재로 사용하고 상자 또는 널판을 만드는 재료로 쓰기도 한다.


다음백과









위세오름에서 영실로 내려오다가 만난 팥배나무입니다.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키는 15㎝에 이르며 어린가지에는 조그만 피목이 있다.
난형의 잎은 어긋나고 중앙맥을 중심으로 2차맥이 나란히 나는데, 잎맥이 패어 있다.
잎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1~2㎝이다.
꽃은 5월경 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하얗게 피는데, 꽃잎·꽃받침잎은 모두 5장이다.
암술은 1개이지만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 있고 수술은 많다.
주황색의 열매는 가을에 동그랗게 익는다.
열매를 팥배라고 하여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다음백과








2017년 5월 25일 위세오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