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들꽃(초본)

금강초롱 (20170826)

by 청계 1 2017. 9. 17.



금강초롱을 보러 강원도와 경계 지점에 자리한 화학산에 갔습니다.
남쪽에서는 차로 5시간 반이나 걸리는 거리인데도
해마다 금강초롱이 피었다는 소식이 들리면 새벽에 출발하여 달려갑니다.
올해도 지인들과 새벽 3시에 창원에서 출발을 하였습니다.
금강초롱이 자생하는 곳에 도착을 한 시각은 차에서 내려 걸어간 시간이 있어 10시가 되어서야 첫 대면을 하였습니다.
숲속에서 핀 금강초롱을 만나는 순간은 감격 그 자체였습니다.
먼 거리를 달펴온 피로가 다 풀리는 기분이엇습니다.
올해는 가뭄으로 금강초롱도 예년에 비하면 풍성하지 않았습니다.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1902년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지금은 태백산·오대산·설악산·향노내봉·금강산을 거쳐 함경남도에서도 자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최근에는 경기도 가평군 명지산에서 채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금강초롱속에는 금강초롱 말고도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에만 자라는 검산초롱꽃이 있다.
곧추서서 자라는 식물로 키가 30~70㎝ 정도 자라며 식물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줄기 가운데에서 4~5장이 서로 어긋나고 긴 난형, 긴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거친 톱니 모양이다.
종처럼 생긴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 연한 남보라색으로 1송이씩 피는데, 때때로 한 줄기에 여러 송이씩 밑으로 처져 핀다.
꽃은 길이가 4~5㎝, 지름이 2㎝에 달한다.
꽃받침은 5조각으로 갈라졌으며 각 조각은 끈처럼 생겼다.
수술은 5개로 꽃밥이 서로 붙어서 암술대를 둘러싸고 있다.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졌으나 꽃부리 밖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검산초롱꽃은 꽃받침조각이 알처럼 생겨 금강초롱과 구분된다.
더위에 약할 뿐 아니라 가을에 열매가 다 익기 전에 서리를 맞기 때문에 씨가 완전히 익지 않아 주로 뿌리에서 새싹이 나와 번식한다.
흰 꽃이 가끔 피기도 한다.
물이 잘 빠지는 기름지며 반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금강초롱을 화분에 심을 경우 밭흙과 풀이나 나무가 썩어서 된 부엽토 및 가는 모래를 4:4:2 비율로 섞어 심는다.


다음백과













금강초롱을 보러 가서 만난 과남풀입니다.
금강초롱과 어울려서 핀 모습도 만났습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높은 산 중턱 이상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0cm쯤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3개의 맥이 뚜렷하다.
꽃은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달리며 보라색이다.
꽃 밑에 붙은 잎은 화관보다 길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6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종 모양으로 5-6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사이의 부화관 갈래는 짧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삭과이며 2갈래로 갈라진다.
약용으로 쓰인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궁궁이도 보았습니다.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줄기에 털이 없고 곧추 자라며 키가 80~150㎝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긴 잎자루를 가지며 줄기에서 나오는 잎은 서로 어긋나는데,
날개깃처럼 3~4번 갈라지는 겹잎으로 난형 또는 피침형의 잔잎은 다시 3번 정도 갈라진다.
꽃은 하얀색이며 8~9월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리는데 이 꽃차례마다 20~40송이의 꽃이 핀다.
열매는 편평한 타원형으로 익는다.
산골짜기나 냇가에서 주로 자라며 4월에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다음백과











까실쑥부쟁이도 피었습니다.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땅속줄기에서 나온 줄기는 높이 80~12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칠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7~14cm, 너비 3~6cm 정도의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8~10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0mm 정도이고 백색이다.
수과는 길이 2mm, 지름 0.8mm 정도의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관모는 갈자색이다.
개미취와 좀개미취에 비해 두상화가 작고 화상의 작은 오목점 가장자리가 가늘게 갈라진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연한 잎과 순을 나물로 데쳐 먹고 건조시켜 묵나물로 식용한다.


우리주변식물 생태도감







까치고들빼기도 꽃을 피우기 시작하였습니다.



까치고들빼기는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이다.
깊은 산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20~50cm 정도이며 가지가 밑에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 조각은 3~6쌍이다.
잎자루가 있고 잎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줄기와 잎을 자르면 하얀 액이 나온다.
꽃은 9~10월에 노랗게 피는데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 비슷하게 모여 핀다.
꽃의 지름은 1c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갓털은 흰색이다.


위키백과










꼬리풀도 피었습니다.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80cm,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고, 위로 굽은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4-8cm, 폭 5-8m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길이 10-30cm의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4갈래로 깊게 갈라져서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화관은 남색이고, 4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몽골,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큰세잎쥐손이도 만났습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는 끝이 뾰족한 달걀모양으로서 가장자리에 큰 거치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다소 있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다소 있으며 탁엽은 동합하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약간 있다.
화경은 길이 10cm이며 꽃자루와 더불어 끝에 꼬부라진 복모가 있고 포는 길이 2-5mm로서 피침형이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6-7mm로서 5맥이 있으며 끝의 돌기는 길이 3mm이고
꽃잎은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1.2-1.3cm로서 밑가장자리에 돌기가 있고 자주색이며 맥이 보다 짙은 색이다.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고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22-24mm이고 종자는 둥근 타원형이다.
줄기는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거나 꼬부라진 복모가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식물







2017년 8월 26일 화악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덩굴닭의장풀 교에서 (20170829)  (0) 2017.09.19
닻꽃 (20170826)  (0) 2017.09.17
난쟁이바위솔 (20170826)  (0) 2017.09.15
분홍장구채 (20170822)  (0) 2017.09.15
애기앉은부채 (20170822)  (0) 201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