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버섯20

노랑망태버섯 (20210811) 경북 군위군의 야산 숲속에서 본 노랑망태버섯입니다. 이른 시간에 찾아가서 만나야 고운 모습의을 볼 수 있는데 9시에 만난 노랑망태버섯은 치마처럼 펼쳐진 망사가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버섯명 : 노랑망태버섯 학명 : Phallus luteus (Liou & L. Hwang) T. Kasuya 분류 : 말뚝버섯목 > 말뚝버섯과 > 말뚝버섯속 분포 : 전국 발생시기 : 여름~가을 군락형태 : 흩어져 나거나 무리지어 발생 자실체형태 : 어린 균은 직경 3.5~4㎝로 난형~구형, 백색~담자갈색이며, 기부에 두터운 근상균사속(根狀菌絲束)이 있음. 성숙한 자실체는 10~20×1.5~3㎝가 된다. 갓은 종형 자실층 : 꼭대기부분은 백색의 정공이 있으며, 표면에 그물망무늬의 융기가 있고, 점액화된 암록색 기본체가 있어서 .. 2021. 9. 16.
노랑주걱혀버섯 (20210708) 부산 바닷가 둘레길에서 본 노랑주걱혀버섯입니다. 갈맷길의 나무 기둥에 노란색 버섯이 돋고 있었습니다. 2021년 7월 8일 부산 이기대 바닷가 갈맷길에서 2021. 8. 12.
테두리방귀버섯 (20200227) 꽃을 보러 만난 테두리방귀버섯입니다. 잎이 돌려난 것처럼 받쳐준 위에 공이 올려져 있는 것처럼 생겼습니다. 구멍이 난 것을 보니 방귀를 뀌듯 구멍으로 포자를 날린 모양입니다. 2020년 2월 27일 전남의 야산에서 2020. 3. 18.
버섯 (20200213) 변산바람꽃을 보러 가서 만난 버섯입니다. 2020년 2월 13일 창원 진동의 야산 자락에서 2020. 2. 17.
녹청접시버섯 (20190502) 일주일 뒤에 다시 가서 만난 녹청접시버섯입니다. 죽은 나무에 푸른색으로 자라는 버섯이 여전히 고왔습니다. 식물명 : 녹청접시버섯 학명 : Chlorencoelia versiformis (Pers.) Dixon 분류 : 녹청접시버섯속 생육환경 : 썩는 고목에 군생~단생 자실체형태 : 얕은 찻잔형에서 자실층면이 요철로 된다. .. 2019. 5. 22.
황색황고무버섯 (20190306) 제주도에서 변산바람꽃을 보러 가서 만난 버섯입니다. 썩은 나무 둥지에 노란색 고형물이 붙은 모습이었습니다. 이곳저곳을 뒤져 황색황고무버섯이 아닌가 짐작을 합니다. 분류 : 두건버섯과(LEOTIACEAE) > 황색고무버섯속(Bisporella) 서식지 : 활엽수의 죽은 가지, 고목 학명 : Bisporella citrina.. 2019. 3. 22.
구름버섯 (20190306) 제주도에서 변산바람꽃을 보러 가서 만난 버섯입니다. 썩은 나무 둥지에서 자라는 모습으로 보아 구름버섯의 한 종류인 것 같습니다. 분류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 구름버섯속(Coriolus) 서식지 : 활엽수의 고목 학명 : Coriolus versicolor 국내분포 :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2019. 3. 22.
꼬마요정컵지의 (20160702) 꼬마요정컵지의입니다. 바위에 붙어서 자라고 있었습니다. 요정들이 물을 받아 먹는 컵이라고 이름을 붙인 모양입니다. 2016. 7. 24.
망태버섯(20150728) 망태버섯입니다. 노란 망사치마를 두른듯한 모습입니다. 담자균류 말뚝버섯과의 버섯이다. 북한명은 분홍망태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의 땅에 여기저기 흩어져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흰색 뱀알처럼 생긴 덩어리가 .. 2015.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