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풀17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숲속에서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을 보았습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도 있습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쥐손이풀도 보았습니다. 푸른색을 띄는 쥐손이풀속(Geranium pseudosibiricum J. Mayer) 식물입니다.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도 보았습니다.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꽃잎이 젖혀지는 것이 나도여로와 다른 것 같았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보라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원지과로 보입니다. 인가목(Rosa acicularis)도 보았습니다. 송이풀(Pedicularis res.. 2024. 10. 23. 몽골할미꽃(Pulsatilla ambigua) 외 - 차강호 옆의 풀밭에서(20240626) 차강호 옆의 풀밭에 할미꽃도 피었습니다. 오면서 만났던 할미꽃은 대부분 꽃이 졌었는데 곱게 핀 할미꽃을 보았습니다. 김찬수박사는 몽골할미꽃(Pulsatilla ambigua)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연보라색 할미꽃도 보입니다. 크기가 작은 할미꽃을 보고 귀엽다고 하며 500원 동전을 놓고 다들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진한 보라색 꽃을 피운 골무꽃을 보았습니다. 참골무꽃과 비슷한데 잎이 다른 모습입니다. 골무꽃속(Scutellaria scordiifolia Fisch) 식물입니다. 큰점나도나물과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풀밭에 무리로 자라며 전초에 털이 많았습니다. 북선점나도나물(Cerastium rubescens Mattf. var. koreanum (Nakai) Miki)이 아닐까 생각하였.. 2024. 9. 9.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 외 - 차강호 가는 길의 야산에서(20240626) 큰솔나리를 보고 맞은 편의 산에는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도 보았습니다. 몽골의 초원에서도 어수리는 튼실하게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아수리 옆에 산형과 식물도 보았습니다. 왜우산풀(Pleurospermum camtschaticum?Hoffm.)과 비슷한 모습이었습니다. 붉은색 꽃이 바람개비처럼 돌리는 모습으로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도 피었습니다. 꽃의 색이 많이 붉습니다. 분홍바늘꽃(Epilobium angustifolium L.)도 분홍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옆에도 분홍바늘꽃이 많았지만 꽃을 피운 개체는 하나였습니다. 큰 키에 붉은색.. 2024. 9. 4. 곤달비 외 - 왕지에서 (20230726) 백두산 왕지에 갔습니다. 왕지에 들어서니 넓은 풀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곰취와 비슷한 식물이 많이 보입니다. 곤달비입니다. 큰 키에 꽃차례도 풍성하였습니다. 국명 : 곤달비 학명 :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국명이명 : 곰취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Ligularia 곰취속 분포 : 북부지방, 전라남도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털이 없다. 뿌리잎은 2~3개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20~75cm다. 잎몸은.. 2023. 10. 5. 돌지치 외 - 볼간의 휴화산에서(20230707) 볼간의 휴화산에 도착했다. 낮은 산으로 보이는데 올라가면 분화구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 푸른색의 작은 꽃을 피운 식물을 보았다. 몽골의 초원에서 흔히 보이는 돌지치라고 하였다. 풀밭에 황기로 보이는 식물도 보았다. 초원에서 보았던 참시호를 또 만났다. 물싸리도 노란색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다. 비탈진 길을 오르니 산행로 주변에 갖가지 꽃들이 피어서 반겨주었다. 나비나물도 보았다. 쥐오줌풀이 곱게 꽃을 피우고 있다. 그냥 쥐오줌플인가 하였는데 털이 보인다고 지인이 설령쥐오줌풀이라고 하였다. 송이풀로 보이는 꽃이 풀 사이에 피어 있었다. 자세하게 구분을 할 수 없다. 검색을 하니 Pedicularis oederi Vahl에 근접을 하였다. 큰솔나리가 이곳에도 다룬 꽃들과 어울려 피어 있다. 비탈진 풀밭에 갖.. 2023. 8. 4. 껄껄이풀 외 - 왕지에서 (20190726) 서파에서 내려와서 찾은 곳은 왕지입니다. 탐방로를 들어서니 넓은 꽃밭이 펼쳐졌습니다 껄걸이풀도 보았습니다. 두메부추도 만났습니다. 만삼도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왕지를 나오다가 등대시호도 만났습니다. 씨를 맺고 있었습니다. 송이풀도 보았습니다. 달구지풀도 보았습니다. .. 2020. 1. 29. 자주꽃방망이 흰색 - 선봉령에서 (20190723) 흰색 꽃을 피운 자주꽃방망이를 만났습니다. 국생종에는 정식으로 등록이 되지 않았지만 흰자주꽃방망이라고 학명은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자주꽃방망이와 나란히 있어 비교가 되었습니다. 계곡을 따라 난 탐방로를 가다가 매발톱을 만났습니다. 꽃은 다들 아래로 드리운 모습으로 피.. 2020. 1. 5. 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L 2019년 7월 1일 체제르렉 고개를 넘어가다가 본 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L 입니다. 식물명 : 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 분류 : 통화식물목 > 현삼과 > 송이풀속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심산지역의 숲속에서 자란다.. 2019. 12. 1. 분홍바늘꽃 외 - 아르항가이에 가는 길의 고개에서 (20190701) 아르항가이를 가는 길의 고개를 넘다가 분홍바늘꽃을 보았습니다. 차를 세우고 분홍바늘꽃을 찾아 올라가니 분홍바늘꽃이 무리로 자라고 있었지만 꽃을 겨우 몇 개체만 피었습니다. 분홍바늘꽃 옆에 달구지풀이 붉은색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달구지풀이 두메자운을 닮은 꽃과 같이 .. 2019. 10. 10. 이전 1 2 다음